홍윤성과 절부 : 윤백남 역사/야담 소설
윤백남(尹白南. 1888~1954)
극작가, 소설가, 영화감독. 본명은 교중(敎重). 충청남도 공주 출생.
* 1905년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고등예과 졸업.
* 1913년 《매일신보》 편집국장.
* 1913년 잡지사 《반도문예사(半島文藝社)》를 세우고 월간잡지 《예원(藝苑)》 발간.
* 1916년 신파극단 《예성좌(藝星座)》를 조직.
* 1917년 《백남프로덕션》을 창립. 영화 제작, 감독을 함.
* 1918년 김해 《합성학교(合成學校)》 교장. 《동아일보》 입사.
* 1922년 《민중극단(民衆劇團)》 조직, 번안·번역극 등을 상연.
* 1923년 우리나라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서> 각본 및 감독.
* 1925년 《윤백남프로덕션》 창립.
* 1931년 신극단체 《극예술연구회》 창립 동인.
*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학장.
* 1954년 초대예술원회원을 역임.
* 대표작 <대도전(大盜傳)> <회천기(回天記)> <흑두건(黑斗巾)> 등위 장편소설과 <괴승 신수> <후백제비화> <순정의 호동왕자> <정열의 낙랑공주> <홍윤성과 절부> <보은단 유래> 등 단편 야담/역사소설.
1888~1954. 한국의 소설가, 극작가, 연극 영화인. 본명은 교중(敎重), 기타 미봉(眉峰), 태백남인(太白南人) 등. 충남 공주 출신. 어릴 때는 한학을 공부했다. 1903년 한성부로 올라와 경성학당 중학부 졸업, 1904년 일본으로 건너가 1906년 일본 와세다대학 고등 예과 졸업, 1910년에 동경고등상업학교를 졸업했다.
귀국 후 1911년 보성전문학교 강사로 근무했다, 매일신보 기자가 되어 문필 생활을 시작했다. 신파극 극단인 문수성을 창단하여 번안 신파극을 공연하고 배우로도 활동했다. 잡지사 반도문예사를 설립하여 월간 잡지 ‘예원’을 발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919년에 ‘동아일보’가 창간되자 입사하였고, 매일신보에 단편소설 ‘몽금’을 발표하였다. 연극론과 희곡을 발표하고 민중극단을 조직하여 자신의 희곡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1923년에는 한국 최초의 극영화 ‘월하의 맹서’를 촬영했다. 윤백남은 이 영화의 각본과 감독을 맡았으며, 민중극단 배우였던 이월화를 출연시키기도 했다.
영화 ‘운영전’, ‘심청전’ 등을 연이어 발표하였으나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자 1920년대 후반부터는 소설 창작에 몰두했다. 1930년에 동아일보에 연재한 ‘대도전’이 큰 인기를 끌면서 윤백남은 인기 작가 반열에 올랐다. 1930년대에는 야담 운동에 뛰어들어 많은 야담 작품을 발표했고, 1934년 10월 월간야담을 창간했으며, 1937년에 만주로 이주해 역사소설을 썼다.
1945년 8·15 광복 후 귀국하여 조선영화건설본부의 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1950년 6·25사변 중 해군 중령으로 복무, 1953년에는 서라벌예술대학 학장을 맡고, 1954년 대한민국예술원 초대 회원을 지냈다. 1954년 9윌 29일 6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연극, 영화,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근대 문화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된다.
장편 역사소설 ‘봉화’, ‘흑두건(黑頭巾)’, ‘해조곡(海鳥曲)’, ‘백련유전기(白蓮流轉記)’, ‘낙조의 노래’, ‘회천기(回天記)’,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등과 희곡집 ‘운명’, 저서 ‘조선야담전집’, ‘조선형정사(朝鮮刑政史)’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