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은 혀끝이 아닌 뇌에서 인지한다 맛에 숨은과학(미래창조과학부)(이지사이언스 22)
『맛은 혀끝이 아닌 뇌에서 인지한다 맛에 숨은 과학』 내용 소개
일상적이고 매우 친밀한 ‘맛’의 인지과정에 놀랍게도 치밀하고 정교한 과학이 숨어 있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짜다, 시다, 달다 등의 맛을 느끼는 건 혀가 아니라 뇌에서 인지한 결과이다. ‘맛’은 식품학적 관점과 생리학적 관점에서 구분해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가 일상에서 맛이라 부르는 것 중에서 맛 물질의 실체나 인지과정이 입증되지 않은 맛들은 생리학적 관점에서는 ‘맛’의 범주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 책은 이렇게 사뭇 복잡한 ‘맛’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한다. 좁은 의미의 맛과 넓은 의미의 맛에 대한 정의부터 우리 몸이 맛을 느끼도록 설계된 이유와 짠맛, 쓴만, 단맛, 신맛이 어떤 과정을 통해 뇌에서 인지되는지 등을 다양한 사진 자료와 도표, 일러스트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입이 아닌 우리 몸속 위장이나 창자에도 존재하는 미각, 유전되는 미각, 나이나 성별에 따라 다른 미각, 생활 속 다양한 맛 이야기 등 독자들이 평소 알지 못했던 맛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실려 있어 ‘맛에 담긴 과학’의 세계를 흠뻑 맛볼 수 있다.
한편 이번 도서는 전자책 2.0과 3.0으로도 제작되어 있어 다양한 단말기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전자책 3.0에서는 각 챕터와 연관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각 챕터 끝에는 내용과 연관된 간단한 퀴즈도 실려 있어 초등학생 자녀나 청소년들의 교육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전자책은 PDF와 전자책 2.0, 3.0등 3가지 버전으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별도의 이북 뷰어를 다운받아 사용이 가능하다.
관련 전자책 자료는 국내 주요 인터넷 서점 및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 한국식품연구원(http://www.kfri.re.kr), 그리고 도서를 제작한 (주)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저자 :
이 책을 집필한 류미라 박사는 현재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식품소재의 화학감각 조절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주로 사람의 단맛, 쓴맛, 그리고 짠맛 수용체를 세포 속에 발현시켜 활용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맛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소금이 아니면서 짠맛을 더 짜게 느끼게 하는 물질을 찾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물론 우리 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매운맛과 같은, 기본 맛 이외의 맛도 연구하고 있다. 우리 미각 연구의 궁극적인 기술을 개발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길고 쉽지 않은 여정이 예상되지만, 미각연구를 기반으로 ‘건강사회 실현’, ‘삶의 질 개선’과 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
《이지사이언스 시리즈 22》 『맛은 혀끝이 아닌 뇌에서 인지한다 맛에 숨은 과학』 목차
1. 맛이란 무엇인가?
01 좁은 의미의 ‘맛’, 넓은 의미의 ‘맛’
02 우리 몸이 맛을 느끼도록 설계된 이유
03 ‘맛’은 어디서 어떻게 느낄까?
04 오미와 기본맛의 차이
05 짠맛 수용체는 나트륨 채널
06 수소이온이 신맛의 열쇠
07 쓴맛 수용체는 대가족
08 단맛 수용체는 이량체 단백질
09 상승효과도 있는 감칠맛 수용체
2. 짠맛에 대한 이해
01 소금은 반드시 먹어야 할까요?
02 짜게 먹는 습관은 몇 살 때부터 배울까?
03 소금 살짝 뿌리면 더 달아요
04 지나친 짠맛은 쓴맛인가 신맛인가
05 조선간장에 있는, 소금 아닌 짠맛
3. 식품에 숨은 감칠맛
01 제5의 기본맛, 감칠맛의 발견
02 감칠맛은 MSG의 맛이라고요?
03 우리 전통장류 속의 감칠맛
04 한국 다시마가 최고래요
05 파르마산 치즈 맛의 정체
06 표고버섯의 감칠맛
4. 맛이 아닌 맛
01 맛이 아닌 맛
02 손에서도 느끼는 매운맛
03 코로 오는 고추냉이의 매운맛
04 떫은맛의 반전
05 박하나 민트의 시원한 맛
06 탄산음료의 상쾌한 맛
5. 입이 아닌 몸속의 미각
01 입이 아니라 몸속에도 맛 수용체 있다?!
02 소장의 단맛 수용체
03 기도를 넓혀주는 쓴맛 수용체
04 식욕을 조절하는 위장의 쓴맛 수용체
05 0칼로리 감미료
6. 미각과 유전
01 입맛은 유전될까?
02 쓴맛 유전자가 고장난 ‘미맹’
03 아이들의 편식은 유전 탓?
04 인종이 다르면 미각도 다를까?
05 혀 위치에 따라 느끼는 맛이 다르다?
06 지방맛에 둔한 사람이 비만?
07 판다의 멸종 위기는 미각 유전자의 고장
7. 나이, 성별과 미각
01 갓난아기도 맛을 느껴요
02 여성이 맛에 더 예민하다
03 나이 들면 음식 간이 세지는 이유
04 여성 호르몬에 따라 달라지는 미각
05 술맛을 느끼는 데 남녀 차이가 있을까
8. 생활 속의 맛 이야기
01 기억으로 남는 맛
02 술마다 맛이 다른 건 원료와 발효
03 고기에는 적포도주, 생선에는 백포도주
04 사카린의 누명
05 향기로 짠맛을 높인다고요?
06 스트레스 해소에 쓴맛?
07 스트레스를 받으면 달거나 짠 게 당긴다고요
[부록] 한국식품연구원 소개
01 설립 목적 및 비전
02 본부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