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분리공학 1
두메산골에서 서울행 막차를 놓친 경우나, 작은 섬으로 떠나는 도서행 막배를 놓친 경우처럼, 탁 막아버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막(膜)이고, 미세한 분자와 원자 및 이온 등의 극미한 물질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는 필터(filtering)의 장막(帳幕) 내지 몸속 내장의 장막(腸膜)이 막(膜)이다. 20세기까지는 정밀여과(microfiltration) 막, 한외여과(ultrafiltration) 막, 역삼투(reverse osmosis) 막 등으로 나누었지만, 21세기의 나노(NANO) 시대에 접어들자 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 사이의 공극 크기인 나노(nanofiltration) 막이 이용되고 있고, 역삼투에 반대되는 정상적인 삼투현상을 이용하는 삼투 막 즉 정삼투(正?透) 막도 이용되고 있으며, 공업용의 전기투석막에 더하여 인체용의 투석(透析) 막(膜)도 이용되고 있다. 본서는 이와 같은 다종다양한 막(膜)에 대한 기본이론과 기초논리 및 응용기술을 논하고 있어, 물질의 분리를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자의 기본지식이 되고 있다. 화학공업은 크게 합성기술과 분리기술로 나누어지고, 합성공정 이전에 반드시 분리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막 분리기술은 모든 화학공업의 필수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 :
저자 김오식 박사는 환경과학과 환경공학 부문에서 가장 많은 책을 펴낸 최고의 저술가이다. 그는 일찍이 차후 100년을 내다보는 Environments Fiction(환경소설)을 개발해 자신의 과학기술적 논리를 과감히 추가해 논리화하는 Metafiction/ meta-novel(fiction+non-fiction)도 저술하고, 자신의 과학적 논리로서 qualitative & quantitative meta-analysis 하면서 부단히 과학기술서적을 저술하며 살아간다. 그는 종이책(c-book)의 부분에서 100권 이상을 저술하고, IT 시대에 들어서는 전자책(e-book)으로 500권 이상을 목표로 하고 산다. 그는 환경 저술로서 한국사회에 보다 많이 기여하고자 工夫(technological study)한다. 동시에 工夫(과학술계 지아비)인 한국 과학기술자의 세계적 경쟁력의 원천인 ‘한중일영 한자’ 능력을 모든 과학기술인(scientist & technologist)에게 심어주고, 동양고전을 한/중/일/영어로 해석해 4개 국어 사용자가 되게 하는 즐거움으로 살아가고 있다.
제1장 막 이론 ... 3 page
1.1. 막의 발전 ... 4
1.2. 고분자 합성막 ... 7
1.3. 즉형막 ... 13
1.4. 생체막과 합성이중막 ... 21
제2장 고분자 합성막 ... 27
2.1. 막의 분류 ... 29
2.2. 막의 화학적 구조 ... 31
2.3. 결정성과 다공성 ... 35
2.4. 막의 비대칭성 ... 40
2.5. 물과 용질의 투과 ... 41
제3장 다이나믹 막 ... 47
3.1. 막의 지지재 ... 49
3.2. 표면도막 및 여과조제 ... 52
3.3. 다이나믹 막과 분리 ... 54
3.4. 다이나믹 막의 제조 ... 57
3.5. 다이나믹 막과 분리작용 ... 59
3.6. 다이나믹 복합막 ... 66
제4장 액체막 ... 69
4.1. 액막에 의한 분리 ... 70
4.2. 액막 물질전달 메커니즘 ... 74
4.3. 에멀젼형 액막 ... 84
4.4. 지지형 액막 ... 89
4.5. 고분자막의 즉형적 제조 ... 90
제5장 생체막과 지질이중막 ... 94
5.1. 지질이중막의 형성과 조성 ... 98
5.2. BLM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
... 102
5.3. BLM의 투과도 ... 108
제6장 생체막과 액포막 ... 110
6.1. 리포좀의 제조 ... 110
6.2. 리포좀의 구조 ... 118
6.3. 합성계면활성제 액포막 ... 127
제7장 탄화수소 합성이중막 ... 130
7.1. 탄화불소 미셀 ... 131
7.2. 탄화불소 이분자막의 특성... 133
7.3. 탄화불소 이분자막의 기능...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