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포스트-노키아에서 혁신을 외치다
핀란드는 수준높은 공교육고 사회적 안전망을 가진 노르딕 복지국가 중 하나입니다. 10년 전, 핀란드는 노키아의 몰락과 함께 큰 경제적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핀란드는 다시금 일어서고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을 나와 노키아 같은 좋은 회사에 취업한다'라는 대기업 중심의 사회 구조에 있숙했던 핀란드 사람들은, 10년 만에 자신들만의 독특한 창업 생태계로 구축한 것에 성공한 것입니다. 핀란드의 이러한 변화는, 마찬가지로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에 익숙한 한국 사회에 작지만 강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어떻게 핀란드라는 나라가 어떻게 경제와 사회의 혁신을 이루어나가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합니다.
저자 : 박솔잎 외
조병진. 헬싱키공과대학(현 알토대학교)에서 전기전자공학 무선통신분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 핀란드 IT컨설팅기업에서 선임연구원, 노키아벨연구소에서 5G 세계이동통신 표준구격 개발을 위한 3GPP 표준화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다.
박솔잎.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를 수여받았다. 핀란드로 오기 전 한국 게임 퍼블리셔 넥슨(Nexon)에서 국제교류 업무를 하였으며, 이후 핀란드 알토대학교에서 영상이론 및 예술교육을 전공하며 IT 스타트업 공동 창업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슬러시, 핀란드라는 빙산의 일각" "핀란드 교실을 해킹하라" 등 핀란드 교육과 창업 생태계에 대한 소식을 꾸준히 글로 전하고 있다.
박소혜. 독일 칼스루헤 공과대학교에서 사이언스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였다. 우연한 계기로 핀란드 스타트업 생태계를 경험했다. 현재 독일 Daimler에서 근무하고 있다.
전혜원. 핀란드국가기술연구원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다수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도맡았다. 현재 미국 Purdue 대학교 대학원의 M2M랩 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다.
배동훈. 모바일 UX 디자이너로서 오랜기간 활동해왔다. 핀란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궂조정과 인수합병 과정을 직접 경험했다. 이후 핀란드의 여러 사회 인프라와 창업 진흥 프로그램을 거쳐, 현지에서 UX 디자인 & 인공지능 스타트업에 새롭게 도전하고 있다.
인사말
핀란드는 어떤 나라?
핀란드 첨단 산업 트렌드 2018
ICT & 네트워크
디지털 게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핀란드 스타트업 2018: 상생
핀란드 스타트업 생태계의 시작
핀란드의 창업 환경 현황
핀란드의 스타트업 육성
핀란드에서 외국인으로서 창업하기
부록: 핀란드 스타트업 백서 (ABC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