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부학 전통과 제중원 해부학 교과서
한글이란 문자 체계의 관점에서 조명한 동아시아 각국의 해부학 비교연구
이 책은 2018년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와 국립한글박물관이 공동으로 개최한 학술행사에서 ‘동아시아의 해부학 전통과 수용’을 주제로 발표된 논문을 모아 펴낸 것이다. 한글박물관이 그간 제중원에서 발간한 한글 해부학 교과서 세 권에 대한 해제와 자료화 작업을 마무리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기획한 전시회 ‘나는 몸이로소이다’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동아시아 각국의 해부학 수용이란 주제로 동아시아 각국의 비교연구와 특히 한글이란 문자체계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저자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엮음)
저자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엮음)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08년 5월에 설립된 국내 최초·유일의 의학사 전문 연구기관이다. 의학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에서 의료가 처한 현실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근본적인 문제점을 진단하여 대안적 성찰을 내놓음으로써 의료가 한국의 문화와 현실 속에 올바로 자리잡을 수 있게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여인석 교수가 소장을 맡고 있으며, 의학사 연구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향후 세계적 연구소들과 국제적인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의학사뿐 아니라 의철학·의료인류학 등 의료인문학과 관련된 연구와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발간사
책머리에
1부 동아시아 해부학 전통
1. 전근대 중국의 해부와 신체관 _김대기
2. ‘내경(內景)’을 탐구하다 : 『해체신서』와 그 전사(前史) _미헬-자이쓰 볼프강(Wolfgang Michel-Zaitsu)
3. 일본의 해부학 수용 초기의 특성: 『해체신서』와 『중정해체신서』에 나타난 세계와 인체 _김성수
4. 식민지 체질인류학적 해부학 지식의 지적 계보: 생체계측학적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_신규환
5. 동아시아 의학사 연구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해부학 관련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_이기복
2부 제중원 한글 해부학 교과서
1. 일본의 해부학 서적 번역과 한말 해부학 교과서 _김영수
2. 최초의 한글 해부학 교과서 『해부학』(1906)의 서지와 번역 특성 고찰 _고은숙
3. 제중원 의학 교과서의 의학사적 의미 _여인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