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와 AI
AI를 이용한 범죄, AI를 활용한 범죄 예방, 그리고 AI 자체가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를 분석한다. AI를 이용한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막기 위한 AI의 역할이 중요하다. AI 범죄는 발견과 추적이 어려워 법적, 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AI와 범죄의 관계를 분석하고, 미래에 대비할 방안을 제시한다.
위덕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다. 위덕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법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 폭력성의 근본적인 원인과 그 문제점을 고스란히 안고 있는 범죄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 박사학위 논문이다. 바로 성폭력 범죄가 주제였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심각한 아동 대상 성범죄의 근본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 연구했다. 학위를 받고 1년 반이 지나 위덕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시작했다. 해양경찰청, 포항교도소, 경주경찰서, 경주교육청 등 공공기관의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교통방송의 범죄분석 프로그램에도 1년 넘게 출연했다. 논문으로 “AI와 개인정보보호”(2023), “AI의 사회화”(2022), “AI의 책임능력”(2021), “디지털 포렌식”(2021), “협박의 심리적 강제 효과”(2020), “책임능력의 법적 심리학적 판단기준”(2019), “성폭력 범죄 2차 피해의 원인 및 방지책”(2018) 등이 있다.
"AI 세상 속의 범죄와 범죄 예방
01 위험한 물건을 제작하는 AI
02 현실을 조작하는 AI
03 증거를 인멸하는 AI
04 AI의 전쟁범죄
05 AI 스파이
06 디지털 감시 사회의 AI
07 디지털 포렌식 AI
08 범죄심리분석사 AI
09 AI 경찰, 검찰
10 AI 범죄 예방 방법"
정혜욱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