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신분석
한 개인이 정신질환을 경험하게 되면 일상생활의 효율이 떨어지면서 삶의 중심이 무너지고 파국적인 삶으로 진행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현존하고 있는 치료방식들 중에서 약물치료가 있습니다만 이 약물의 부분이 무의식을 다룰 수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약물치료가 어느정도 한계들을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뉴스에서 우울증 환자가 급증했다는 소식들을 곧잘 듣게 됩니다. 그외의 다른 정신질환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정신질환에 시달리는 개인에게 증상에서 해방될 수 있는 가능성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정신분석에서는 직접 카우치에서 언어를 통해서 분석을 진행했었습니다. 또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디지털 정신분석은 기존의 정신분석과 다른 것은 아닙니다. 단지 '말'에서 '글'로 분석의 수단을 바꾼 것입니다.
이 방식이 정신과 질환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직접 경험한 내용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디지털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의 분석 혹은 상담과는 다르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책이 가치로운 부분은 최초로 디지털 정신분석의 사례를 실었다는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서 정신분석은 여전히 그 생명력이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자소개
머리말
목차
어떻게 정신질환에 걸린걸까?
나를 괴롭히는 것은무엇일까?
정상모델과 임상모델
애정결핍
정신을 관찰하는 프로이트의 눈
분석효과는 어떻게 등장하는 걸까?
무엇을 위해 분석을 그만두는가?
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정신의 문제는 혼자서 치료할 수 없는걸까?
리비도, 성욕은 어떻게 설명되어야 할까?
정신질환의 편리한 치료방식?
정신은 무엇일까?
왜 잠을 못자게 되는가?
내 눈에 문제가 있는걸까?
디지털 정신분석의 시작
K양의 분석사례
K양 사례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앞서
강박형성물에 대하여
강박에서 심리적 특수성
강박충동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