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관의 세상읽기 깨소금
펜을 들다. / 김철관
시작하며
김철관의 ‘세상읽기 깨소금’을 진행하고 있는 김철관입니다. 깨소금 방송 프로그램은 기존 방송과 좀 더 다른 앵글을 보여주기 위해서, 시민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을 조명합니다. 직접 마이크를 잡고, 멘트를 하고, 콘티를 짜고, 연출까지 진행하는 모노드라마 형식이면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방송을 접목시킨 새로운 강좌 프로그램입니다. 누구나 방송 연출을 할 수 있고, 모든 시민의 삶이 곧 TV라는 앵글을 보여주기 위해서 서울교육방송을 통해 ‘세상읽기 깨소금’ 방송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동안 알고 있던 많은 사람들의 순수한 삶을 보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언론인으로서 한국인터넷기자협회가 추구하는 사회적 약자에 해당하는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대해서, 각종 토론회와 세미나에 대해서 기존 방송에서 보여줬던 앵글과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를 보도하였습니다.
사건은 동일하지만, 현장에 있는 기자들은 취재수첩, 사진기, 녹음기, 노트북, 방송 카메라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을 보도합니다. 김철관의 ‘세상읽기 깨소금’은 인간 김철관이 바라보는 세상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애정을 가지고 시청해주신 시청자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주관적 객관성’의 저널리즘에 입각해서, 참신한 프로그램이 되도록 방송 진행자와 서울교육방송이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시청 바랍니다.
‘세상읽기 깨소금’ 방송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기꺼이 영상 비디오 카메라를 들고서 촬영협조를 해준 장창훈 서울교육방송 보도국장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하며, 또한 서울교육방송 편집팀에게도 함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나무에 열매가 열리기 위해서는 뿌리에서 무기물과 물을 흡수하고, 줄기를 통해서 물이 물관으로 올라가 광합성 작용을 위해 엽록체에서 서로 만나야만 가능합니다. 어느 하나가 없어도 열매가 맺어질 수 없듯이, ‘세상읽기 깨소금’ 방송 프로그램도 모두의 힘이 협력해 아름다운 작품이 나온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2014년 갑오년을 맞이하여, 김철관의 ‘세상읽기 깨소금’은 더 많은 시민들, 더 많은 유명인, 더 많은 사건, 더 많은 사회적 약자 및 더 많은 현장을 다니면서 시청자 여러분들의 귀와 눈이 되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1월 1일 갑오년
김철관 ‘세상읽기 깨소금’ 진행자
펜을 들다 / 김철관
함께 하다 / 장창훈
1. 오석(烏石) 작가로 불린 장성재 조각가의 ‘래프팅’
2. 천상병 시인의 귀천 찻집을 찾다
3. 무예신문(최종표 대표) 기자교육
4. 국정원을 해체하라
5. 소나기 황순원 문학관
6. 꼴액자 전문가 임기연 작가를 찾다
7. 자작나무 갤러리 | 이재연 작가
8. 촛불집회를 가다.
9. 박목수 작품전
10. 송승진 사진작가
11. 어린이 재단 어린이 기자교육
12. 권성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13. 백종현 서울대 철학교수
14. 양선희 중앙일보 논설위원
15. 김외숙 소설가와 학림에서 만나다
16. 시사1 윤여진 발행인
17. 박미영 이사장, “전통음식이 현대적 맛을 입다”
18. 이봉주 마라토너, 이매리 홍보대사
19. 나눔신문 나눔실천 대상 행사
20. 김철관 인기협 회장 "하나의 사진은 평화와 고뇌 느끼게 해"
21. 김철관 회장 자유언론상(서울교육방송) 수상
22. 김철관 회장, "미디어는 곧 매개체다"
23. 김철관 인터넷기자협회 회장, 서울교육방송 방문
24. 한국인터넷기자협회와 스텝재단, “기회의 땅 아프리카로 가자”
25. 인터넷 신문의 편파성 극복 가능한가? |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주관
26. 조경태 의원과 만남
27. 세계기자대회 짐 보멜라 기자연맹 회장과 만남
28. 시디베 사무총장 "에이즈 환자, 차별 말고 적극적 도움 줘야"
29. 김철관 인터넷기자협회 회장 인터뷰
30. 김철관 인터넷기자협회 회장, “기자는 쓰고 독자는 읽는 일방통행은 끝났다”
31. 한국기자협회, 세계기자대회 개최
32. 나는 인터넷기자협회가 좋다
33. 내가 김철관 회장을 좋아하는 이유는?
34. 김철관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회장, 자유언론상 수상 소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