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공중보건 - 2015 개정 교육과정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에 대한 정의가 아니더라도 인간은 유사 이래 환경에 적응하고 질병을 극복해오며, 건강하고 오래 살고자 부단히 노력해왔다. 인간의 역사와 무병장수의 역사는 함께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역사와 함께 해 온 노력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중반까지는 감염병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망 원인이었지만, 이후부터는 비감염성 질환이 인류의 건강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의학, 과학의 눈부신 발전을 이룬 21세기 현대에도 흡연, 알콜 중독, 약물 남용, 폭력, 아동학대, 저출산·고령화 등의 사회·심리적 문제와 감염병의 급속한 국제적 확산, 새로운 감염병의 출현, 직업관련 질환, 비만, 만성질환의 증가, 그리고 세월호 사건 등의 안전과 재난의 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이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공중보건학을 익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며 수명을 연장하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쓰고자 노력하였다.
1단원 공중보건의 이해
2단원 환경위생
3단원 식품위생
4단원 감염병 관리
5단원 산업보건
6단원 정신보건
7단원 보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