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을 읽어라 -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생각습관
바둑기사 이세돌 9단 강력 추천!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라
패러다임이 바뀌면 성공의 열쇠가 보인다
성공하는 인물들의 공통점은 뭘까? 무엇이 그들을 성공으로 이끌었을까? 이 책에서 저자는 성공하는 사람의 생각습관으로 네 가지 특징을 뽑는다. 첫째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사고를 전환하는 능력, 둘째 현상이나 상황의 패턴을 읽고 응용하는 능력, 셋째 넓은 시야로 큰 그림을 그리는 능력, 넷째 나를 돌아보고 과거에서 배우는 능력.
인생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이 네 가지 특징을 반드시 길러야 한다. 어떤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 자질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유연하게 사고하고 넓은 시야를 가져야 한다는 등의 이야기는 숱하게 들어왔다.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거나 나를 돌아보라는 지침은 이미 학교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사회에서 끊임없이 배웠다. 그렇다면 저자는 왜 이 당연한 자질들을 들어 나를 혁신하고 세상을 바꾸자고 이야기하는 것일까?
저자는 이 자질을 배울 수 있는 도구로 바둑을 꼽는다. 사실 넓은 시야나 빠른 판단력, 관찰력 같은 자질은 경험을 통해서만 몸에 익힐 수 있다. 그러므로 경험이 부족한 젊은이들이 쉽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가 무척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저자는 경험 이외에도 이 자질을 키울 수 있는 도구가 있으며 그중 제일이 바로 바둑이라고 말하고 있다.
세상을 넓게 보고 다음 수를 생각하라!
삶을 승리로 이끄는 생각습관
바둑은 상대를 알고 나를 알고 판을 읽어야 하는 게임이다. 판을 읽고 다음 수를 생각하는 넓은 시야를 가져야 한다. 새로운 수가 나올 때마다 형세를 자세히 관찰해야 하고, 승부가 나면 전장을 살피며 나를 돌아보고 반성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면서 현실에서 경험을 통해 익히기 힘든 자질들을 내 것으로 만든다. 대국을 한 판 한 판 진행하면 내가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특히 나를 돌아보는 ‘복기’ 과정에서는 나와 상대의 생각하는 방식의 차이를 깨닫고 새로운 길을 찾는 방법을 배운다. 이것을 현실에 대입하자면 피드백과 피드백 분석 과정에 해당하는데, 빌 게이츠나 피터 드러커 같은 성공한 사람들은 일 년 중의 특정 시간을 피드백 분석 시간으로 지정해 자신을 돌아보는 것으로 유명하다. 성공한 사람들은 성공 가도를 달리는 도중에도 자만하지 않고 늘 자신을 돌아본다.
이런 자질을 바둑을 통해서 몸에 익힐 수 있으므로 바둑은 나를 혁신하는 제일 좋은 도구다. 이제 바둑에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힘을 배우고 삶을 승리로 이끄는 생각습관을 만들자.
[바둑포럼 소개]
<바둑포럼>은 바둑을 사랑하고, 바둑의 세계화 전략을 연구하고 실행하기 위한 바둑 NGO다. 이 책은 <바둑포럼> 기획 프로젝트 결과물이다. 기획참여자는 다음과 같다.
박치문(한국기원 부총재)
서대원(전 헝가리 대사)
이홍렬(조선일보 바둑전문 기자)
신병식(전 SBS 논설위원)
강병두(전 대학바둑연맹 회장)
손종수(바둑 칼럼니스트)
정재웅((주)퍼즐랜드 이사)
강나연(명지대 바둑학과 객원교수)
김바로미(명지대 바둑학과 객원교수)
이소용(바둑 캐스터)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바둑 아마 6단.
신봉호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에서 미시경제학, 혁신경제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혁신과 창조를 위한 생각 방식이 개인과 세상을 궁극적으로 발전시킨다고 믿으며 『잡 메이킹 이코노믹스』, 『이제는 사람이 경쟁력이다』, 『미시경제학』 등의 책을 썼다. 그는 혁신과 창조는 학습을 통해 누구나 해낼 수 있고, 바둑이 그 학습을 하기에 가장 좋은 도구라고 생각한다. 1985년 「KBS 바둑축제」 아마 최강부에서 우승, 승용차를 상으로 받을 정도로 바둑 실력은 거의 프로급이다. 대학 시절에는 일간스포츠가 주최하는 전국 대학 선수권 개인전에서 2년 연속 우승했다.
추천사 - 바둑기사 이세돌
저자의 글
CHAPTER 01 패러다임을 전환하라
01 결과를 바꾸는 패러다임의 힘
생각의 차이가 운명을 가른다 | 고착된 생각은 위험하다 | 기업의 운명을 뒤집어 놓은 패러다임 | 어디서 보는가 | 누구를 중심으로 보는가 | 꼴찌가 일등이 되는 창조 패러다임 | 패러다임을 만드는 경험
02 패러다임 전환의 위력
새 술은 새 부대에 |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기 |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패러다임 전환 | 종이 한 장의 차이를 만드는 것 | 공유의 비극을 공유의 행복으로 | 역사에서 배우는 패러다임 전환의 힘
03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생각습관
나를 바꾸면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 | 결과를 예측하고 성과를 생각한다 | 자기 생각을 현실에서 성과로 검증한다 |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04 바둑, 패러다임 전환의 연습 도구
바둑은 생각 대결 게임이다 | 낡은 생각의 틀을 벗어나라 | 승리를 위해 최선의 수를 찾는다 | 고정관념을 뛰어넘어라 | 새로운 패러다임은 새로운 시대를 연다
CHAPTER 02 패턴을 읽어라
01 왜 패턴이 중요한가
패턴은 미래를 예측하는 힘 | 핵심은 패턴이다 | 삶의 패턴을 읽어 지혜를 얻는다 | 새로운 패턴 창조로 혁신을 꿈꾼다
02 패턴 창조의 위력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패턴 | 패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온다 | 패턴을 파악하면 실마리가 보인다 | 비즈니스에서도 패턴이 활용된다 | 패턴으로 읽는 메가 트랜드 | 부를 가져다주는 패턴 | 인공지능의 핵심 원리
03 패턴 창조를 위한 방법
관찰을 통한 패턴 창조 | 연결을 통한 패턴 창조 | 유추를 통한 패턴 창조 | 반증을 통한 패턴 창조
04 바둑, 패턴 인식과 창조의 연습 도구
바둑에서는 무한한 패턴 창조가 이루어진다 | 바둑에서 배우는 관찰을 통한 패턴 인식 | 바둑에서 배우는 연결을 통한 패턴 창조 | 바둑에서 배우는 유추를 통한 패턴 창조 | 바둑에서 배우는 반증을 통한 패턴 창조
CHAPTER 03 시야를 넓혀라
01 넓게 보고 멀리 보자
나무와 숲을 연결해 생각하라 | 큰 그림 속에서 목표를 정하라 | 전체의 관점에서 내가 할 일은 무엇인가 | 좁은 시야는 위기를 부른다
02 넓은 시야의 위력
넓게 보면 출구가 보인다 | 시야가 좁으면 현재에 갇힌다 | 넓은 시야로 봐야 기회가 생긴다
03 넓은 시야를 갖는 방법
부분과 전체를 연결하라 | 미래를 내다보라 | 큰 그림을 그려라 | 고정관념을 깨뜨려라 | 남과 다르게 생각하라
04 바둑을 두면 시야가 넓어진다
바둑은 큰 시야로 전체를 보는 게임이다 | 바둑은 미래를 내다보는 게임이다 | 바둑은 가치 창조 게임이다 | 바둑은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게임이다
CHAPTER 04 나를 돌아보라
01 나를 돌아보는 피드백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라 | 나를 돌아보면 보이지 않던 잘못이 보인다 | 피드백을 직시하면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생긴다
02 피드백의 위력
실패를 분석해 미래를 바꾼다 | 실패에서 성공 기회를 찾아낸다 |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다 | 토론으로 문제해결능력을 높인다
03 피드백의 위력을 얻는 방법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분석한다 | 잘 되는 것에 집중하고 강점을 파악한다 | 실패에서 배운다 | 실패는 성공의 디딤돌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한다 | 대화와 토론으로 검증한다
04 피드백의 위력을 깨치는 도구 바둑
새로운 선택과 새로운 실험 | 실패에서 배운다 | 피드백 분석방식을 알려주는 바둑 | 토론의 위력을 알게 된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