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O플라네타 - 진화하는 아이돌 행성 탐사
EXO ARTIST STORYTELLING
21세기형 스토리텔링의 클라이맥스!
팬덤 아이돌이 시대의 아이콘으로 진화하는 순간들
팬덤형 아이돌로 시작해 팬클럽 ‘EXO-L 회원 수 300만 명’을 넘기며 팬덤의 종지부를 찍고, 12년 만에 음반 100만장 판매와 후속 앨범의 연이은 100만장 판매 돌파 ‘더블 밀리언셀러’로 음반의 종지부마저 찍어버린 EXO. 최고의 아이돌에서 아티스트로, 시대의 아이콘으로 진화 중인 그들을 심층 탐사했다. 그들의 행진은, 진화는 어디까지 계속될 것인가?
화려한 퍼포먼스와 뛰어난 무대 매너, 월등한 댄스 실력과 탄탄한 보컬까지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한국 아이돌. 그 중에 아티스트로, 아이콘으로 성장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그만의 색깔을 담고 있으면서 시대를 끌어안고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아이덴티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EXO는 치열하고 고난한 행군 끝에 그들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내며, 아티스트로 성장했다.
EXO는 아티스트로의 성장에서 멈추지 않고 시대의 아이콘으로 포지셔닝 되기에 이른다. 이 역시 다른 누구와도 비교되지 않는 그들만의 아이덴티티가 크게 작용한다. 시대의 아이콘이 되기 위해서는 ‘남녀노소’에게 사랑을 받아야 한다는 선결 과제가 있는데, EXO는 이 과제를 비록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훌륭히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도대체 엑소가 누구야?’라는 궁금증에서 ‘아, 엑소?’라는 익숙함으로, ‘와, 엑소다!’라는 열광으로 대중의 엑소에 대한 인지도 진화했다.
현재 EXO는 여러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모든 면에서 정점에 있다. 아이돌 진화의 정점이자 인기의 정점이자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이 추구하는 문화 기술의 정점에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진화는 계속될까? 계속되는 그들의 진화와 함께 아이돌이 아닌 ‘인간’ EXO의 모습도 흥미롭게 지켜보면 좋겠다.
EXO는...?
EXO(엑소)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9인조 남성 음악 그룹이다. EXO는 태양계 외행성을 뜻하는 \'exoplanet\'에서 모티브를 얻은 이름으로, \'미지의 세계에서 온 새로운 스타\'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2012년 4월 8일, 한국인 멤버 8명, 중국인 멤버 4명으로 6명씩 EXO-K와 EXO-M으로 나누어 총 12인조로 데뷔했다.
EXO의 데뷔 싱글, <MAMA>는 2012년 4월에 발매 되었고, EXO-M의 버전은 출시 하루 만에 중국 음악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기대만큼 큰 성공을 거두진 못했다. 2013년 5월, 첫 번째 정규 앨범 <XOXO>로 돌아온 EXO는 <늑대와 미녀>로 데뷔 이래 국내 음악방송에서 첫 1위를 차지했다. 이어 8월에 발매된 <XOXO> 리패키지 앨범의 타이틀 곡 <으르렁>으로 크게 성공한다. <XOXO>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100만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했으며, 한국 음악 방송에서 14개 이상의 트로피를 차지했다. 이밖에도 연말연초 주요 가요시상식을 모두 석권하는 등 2013년을 ‘엑소의 해’로 만들었다. 명실공히 최고의 K-pop 아이돌 아티스트이다.
[문화 레전드 시리즈]
한국 문화 콘텐츠의 힘이 강해지며 한류에 대한 관심은 이제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넘어 의료, 관광, 화장품 등 더욱 세분화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최신 문화는 실시간으로 세계에 소개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 단연 K-pop이 있다. 한국 문화의 중심 K-pop의 최고 전문가를 선정하여 <문화 레전드>라는 브랜드를 통해 널리 소개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영토를 확장해나가는 작업을 지속하고자 한다.
더불어 문화 레전드들이 수행한 문화적 역할의 의의와 사회적 가치를 국내외 문화연구자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진 일반인과 문화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미래세대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하였다.
<문화 레전드> 시리즈에서는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를 이끄는 이들을 만날 수 있다. 시리즈는 팬덤형 아이돌에서 더블 밀리언셀러를 달성한 이 시대의 아이콘 EXO, 당대 최고의 가수에서 최고의 명MC로, 그리고 최고의 영향력을 자랑하는 기획자로 행보의 이수만을 시작으로 계속될 것이다.
최고의 문화 콘텐츠 전문가 필진과 팝 아티스트의 콜라보레이션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전임교수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박사 등을 주요 연구진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콘텐츠연구소가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참여하여 연구 및 스토리텔링 작업의 질적 차원을 높이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여기에 영화감독, 영화 기획자, 스토리텔러 등의 외부 저자가 초빙되어 힘을 보탰다.
가장 핫한 팝 아티스트,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가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대중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그들의 작품 덕분에 완전히 다른 느낌의 책이 탄생되었다. 지은이와는 또 다른 시선으로 ‘문화 레전드’를 분석해 작품을 완성시켰다.
그 결과 하나의 책 안에 두 개의 다른 시선이 담겼다. 두 개의 시선은 훌륭한 콜라보레이션을 이뤄 그들만이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콘텐츠를 완성시켰다. 덕분에 시대를 이끄는 이들의 입체적인 모습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청소년 시절 당시 연희동에 있던 서태지 집 앞에서 서태지 어머니를 잠깐 뵌 적도 있는 빠순이였으며, 영화를 좋아하는 영화 소녀이기도 했다. 대학에서는 미술을 공부하였고 광고와 뮤직비디오 제작 업계에서 잠시 일한 적도 있지만, 이후 영화감독이 되고자 멀고 험난한 반백수의 길을 걸었다. 영화학교에 잠시 적을 둔 적도 있지만 자퇴하였고, 이후 단편 영화 여러 편을 연출하였다. 장편 영화 시나리오도 계속 쓰면서 밥벌이를 위해서 틈틈이 다른 아르바이트를 했다. 그러는 동안 십 년이 훨씬 지났고, 지금은 영화로 먹고 살 수 있는 상업 영화감독으로 데뷔하기 위해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chapter 1. 작가의 말
chapter 2. 비밀병기, EXO
밖에서 본 SM 기지
‘소년천지’ 데뷔설?
전무후무했던 100일간의 프로모션
chapter 3. EXO planet에서 온 초능력자들
카이: 빌리 엘리엇을 꿈꾸던 소년, 멤버들의 능력을 깨우다
수호: 반듯한 모범생 소년, EXO를 수호하는 리더가 되다
디오: 과묵하면서도 깜찍한 소년, 울림 있는 보컬로 대지를 울리다
백현: 활발하고 유쾌한 소년, 빛의 능력으로 세상을 밝히다
찬열: 록커를 꿈꾸던 소년, 래퍼가 되어 불의 힘을 내뿜다
세훈: 낯가림 심한 소년, SM 기지에 안착해 바람을 다루다
레이: 음악과 함께 자란 재주 소년, EXO를 치유하다
타오: 겁 많은 무술 소년, 시간 능력을 각성하다
시우민: 다이어트에 성공한 소년, 귀여운 동안 매력의 결빙 능력자가 되다
첸: 티 없고 낙천적인 소년, 번개 같은 매력을 뽐내며 노래하다
루한: 한국문화에 심취한 베이징 미소년, 염력으로 중국을 끌어당기다
크리스: 캐나다에서 온 장신의 미소년, 비행으로 대륙을 넘나들다
chapter 4. EXO를 만든 SM이라는 과학 기지
SM의 연습생 시스템
뮤직 캠프
SM이 보유한 수천 곡의 음원 데이터베이스
SM의 ‘A&R’팀
SM의 퍼포먼스 디렉터
SM의 비주얼 디렉터
EXO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chapter 5. 드디어 EXO 출격
SMP로 무장한 데뷔 무대
중화권 공략에 나선 EXO-M의 방송 활동
EXO-M은 중국 그룹인가, 한국 그룹인가?
EXO-K의 부진한 차트 성적
EXO-K의 낮은 인지도
chapter 6. 보이그룹 비교탐구
아이돌 세대 구분 속 EXO
빅3 기획사 보이그룹 세대교체의 선두에 선 EXO
동시대 보이그룹 B.A.P와 EXO-K
chapter 7. EXO의 글로벌 전략
EXO-M/EXO-K/완전체
중국을 겨냥하다
중국 시장 진출의 딜레마
중국인 멤버 발(發) 위기에 대처하는 SM의 자세
EXO와 일본 시장
EXO와 비 아시아권 해외 팬들
chapter 8. EXO의 스토리텔링 전략
허경영이 말했다“ EXO는 나를 모방한 것일 뿐”
생명의 나무
초능력을 각성하라
늑대 소년으로 돌아오다
미로 탈출 암호 해독 놀이
chapter 9. 팬덤현상과 사건사고
100만장이라는 앨범 판매고
〈으르렁〉으로 터지다
사생팬인가 사생범인가?
특급 생일 축하
팬클럽, EXO의 이름으로 기부에 앞장서다
chapter 10. 에필로그
참고 문헌
김수수 지음, 찰스장 그림, 스토리텔링콘텐츠연구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