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IT회사에 간 문과 여자 - 비전공자는 어떻게 엔지니어가 되었을까?

IT회사에 간 문과 여자 - 비전공자는 어떻게 엔지니어가 되었을까?

저자
염지원 지음
출판사
모로
출판일
2022-03-17
등록일
2022-06-27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7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아마존 엔지니어가 된 90년대생 문과생의 IT 업계 분투기
★이나리 헤이조이스 대표 추천

어쩌다 IT 회사에 들어갔어요?
엔지니어가 된 문과생의 노력과 열망

저자는 대학에서 정치외교학과 심리학을 전공했다. 어쩌다 보니 취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문과생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은 ‘전공 무관’ 부서였다. 저자가 처음 들어간 외국계 IT 회사는 여기저기 떨어지고 난 뒤 어렵게 붙은 곳이었다. 대단한 곳에 취업을 했다는 사실 때문에 기쁜 건 얼마 가지 않았다. 그곳은 기술이 중심인 IT 회사였다. 사람들은 기술을 전혀 모르는 저자를 한껏 무시했고 마음껏 휘둘렀다.
“시간은 흐르는데 이 업계에서 굉장히 겉도는 것 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만으로 딱 2년을 채운 날, 퇴사하고 전문직에 도전하거나 죽이 되든 밥이 되든 기술직으로 옮겨야겠다고 결심했다. 나는 남의 말을 옮기는 게 아니라 스스로 말을 만들어내고 싶었다. 남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게 아니라 무대의 주인공이 되고 싶었다. 그 열망은 걷잡을 수 없이 새어나왔다.” (26~27쪽)
저자는 여러 시도 끝에 기술직으로 전환한다. 이후 눈물을 한가득 머금고 노력한 끝에 클라우드 업계 1위 회사인 AWS로 이직을 했고 현재는 늘 꿈꿔왔던 아마존 본사에서 일하고 있다. 뼛속까지 문과생이었던 저자는 대체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 어떻게 그 선택들을 밀어붙여 해낼 수 있었을까? 면접 때마다 눈물을 흘리던 저자는 어떻게 아마존 본사까지 가게 됐을까? 《IT 회사에 간 문과 여자》에는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을 이뤄낸 저자의 노력과 열망이 가득하다.

아… 여자야?
남초 업계에서 일하는 젊은 여자의 ‘나’로 살기 위한 전략

회사에 다니는 젊은 여자는 여러 절망을 마주하게 된다. 젊은 여자에겐 잡일뿐만 아니라 시선과 주목 또한 따라붙는다. 회사는 젊은 여자를 가만 두지 않는다. IT 업계는 특히나 여자가 적은 곳이다. 여자들이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건 하루 이틀이 아니고, 어디서 엔지니어가 왔는데 일을 못하더라, 라는 얘기에는 사족처럼 “여자야?”라는 물음이 따라붙는다.
“세상이 요구한 대로 예쁘고 말 잘 듣는 젊은 여자로 살았지만 세상은 어느 지점 이상의 자아 팽창을 허용하지 않았다. 난 그저 귀엽고 젊은 여자였을 뿐 인생에 대해 고민하고 발전을 도모하는 인간일 수는 없었다.”(122~123쪽)
저자도 회사에서는 개인이 아닌 여자로 인식되기 일쑤였고, 상대방의 성가신 것 같은 반응을 보면 ‘내가 여자라서 그런 건가?’라는 생각을 했다. 여자가 한 줌뿐인 곳에서, 끊임없이 성별을 인식‘당하던’ 저자는 자신을 향한 의심을 덜어내고 젊은 여자가 아닌 ‘나’로 살려는 소소한 전략들을 세우며 일을 해나갔다. 계속해서 버텨내겠다는 의지와 다짐으로 가득한 저자의 글은 독자들에게 더 멀리 갈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과 낙관을 심어줄 것이다.

회사에서 잘하면 뭐 할 건데?
일을 사랑하게 된 밀레니얼의 열심과 성실

“1990년대 초반에 출생한 문과생들에게 사회가 정해준 롤모델은 반기문과 한비야였다. 바보처럼 공부하고 천재처럼 꿈꾸고 심장을 뛰게 하는 일을 해야 했다”고 고백하는 저자에게 일이란 ‘가슴이 뛰어야 하는’ 것이었다. “성장과 발전에 돌아버린 인간”인 저자는 고통스러우면 성장하는 거라 믿기도 한다. 지독하게 열심히 일을 해내며 스스로 자랑스러울 만큼 성실하게 성과를 낼 때도 있지만 주식과 코인으로 대박난 사람들의 이야기가 들린다. 성실하게 회사 다니며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어느새 벼락거지가 돼버린다.
늘 번아웃을 매단 채 살고, 캘린더에 질질 끌려가다가도 ‘진짜 이게 다라고?’ 같은 생각을 하는 저자의 모습은 모든 회사원의 모습이다. 언젠가부터 열심과 성실은 미덕이 아닌 미련이 돼버렸지만 저자는 “열심히 사는 건 아무에게도 보이지 않는 근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꿈이나 소명 같은 건 있든 없든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순간순간 최선을 다해 착실히 살 수 있는 삶이야말로 멋지고 아름다운 삶이니까.

저자동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