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봄, 동백꽃, 소낙비
고전은 왜 읽어야 하는가? 학과 공부에 시달려서인지 요즘 학생들은 도무지 책을 읽지 않는다. 성인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다. 2013년 문체부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의 연평균 독서량은 32.3권이고, 성인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이다. 통계만 보자면 참담할 정도다. 우리의 독서 현실이 이렇다 보니 문학, 특히 고전의 효용성이 지금도 지속되는지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문학의 종언을 고한 바도 있었다.고전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그 가치가 사라지지 않고 널리 인정받은 걸작들을 말한다. 고전은 개인에게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삶을 구제해 주는 역할을 했다. 고전을 읽음으로써 삶의 의미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하게 되고, 올바른 가치관을 수립하는 데서도 큰 도움을 얻게 된다. 그래서 고전이란 보편성의 다른 이름과 마찬가지이고, 늘 새로울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우리에게는 고전을 후손들에게 전해야 할 의무가 있는 셈이다.수록 작품들 소개 〈봄봄〉은 새경을 아끼려고 데릴사위를 들여서 머슴처럼 부려먹는 장인과 빨리 혼인을 치르고 싶어 하는 사위와의 갈등을 해학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동백꽃〉은 마름집 소녀와 소작농 소년 사이의 풋풋한 사랑과 다툼을 정감 있게 보여준다.〈소낙비〉는 가난으로 인해 고향을 등지고 세상을 떠돌 수밖에 없는 농민의 비참한 현실을 드러내 작품이다. 작중 인물들은 본디 선량한 사람들이지만 궁핍에 시달려 도덕을 쉽게 버리는 인물로 전락하고 만다. 1930년대 농촌 현실을 실감나게 그린 작품이다.
1908년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고독과 빈곤 속에서 우울하게 자랐다. 고향을 떠나 열두 살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그만두었다. 1930년 늑막염을 앓기 시작한 이래 평생을 가난과 병마에 시달렸다. 유명한 명창이자 기생인 박녹주를 짝사랑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실의에 빠진 김유정은 고향인 춘천 실레 마을에 금병의숙錦屛義塾을 세워 불우한 아이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1935년 이무영, 이상, 정지용 등이 속한 순수문예 단체인 구인회九人會에 가입하고, 같은 해 , [조선일보]에 , [소낙비], , [중외일보]에 , [노다지]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짧은 문단 생활 중에도 김유정은 병과 가난과 싸우면서 30여 편의 단편을 남기고, 1937년 스물아홉의 젊은 나이로 누나 집에서 결핵과 늑막염으로 세상을 떠났다. 대표작으로는 [금따는 콩밭], [봄봄][따라지], [두꺼비], [동백꽃], [땡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