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싱크탱크의 가능성
학력/ 서울대 지리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영국 런던정경대학교(LSE) 정치학 박사.
경력/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국회 남북화해협력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정당학회장,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저서 및 논문/《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나남, 2012),《대한민국 민주화 이야기: 민주화를 향한 현대한국정치사》(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5).〈제한적 정당 경쟁과 정당 활동의 규제: 정당법의 기원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4권 2호, 2015.〈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한국과 국제정치 27권 3호, 2011.
프롤로그
1. 싱크탱크 : 정치는 3차 산업 ㅣ 박인휘
01 싱크탱크, 무엇을 하는 곳인가?
02 싱크탱크의 어제와 오늘
03 \'서울, 2006년 봄\'에 싱크탱크를 말하다
04 루스벨트.케네디.레이건.부시 Jr.의 닮은 점?
05 싱크탱크 목장의 결투 : 미국 패권의 조건
2. 미국의 싱크탱크 : 권력과 지식의 밀월 혹은 예종 ㅣ 장훈
01 아이디어 전쟁에서의 새로운 시간.공간 개념 : 헤리티지재단
02 새로운 도시 : 워싱턴의 변신과 싱크탱크 시대의 개막
03 아이디어 시장의 새로운 주역들 : 정책 지식인의 등장과 싱크탱크
04 권력과 지식 사이의 \'거리의 재구성\'
3. 한국형 싱크탱크 가능한가? ㅣ 강원택
01 그동안 한국에서는 왜 싱크탱크가 활발하지 못했을까?
02 우리나라의 싱크탱크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03 싱크탱크, 무엇을 기대할 수 있나?
04 우리나라의 싱크탱크, 제대로 작동할 수 있을까?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