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 생물학자가 진단하는 2020년 초고령 사회
서울 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전임 강사, 미시간 대학교 조교수, 서울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는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 과학부 석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내고자 설립한 통섭원의 원장이며, 2013년부터 국립생태원 초대 원장으로 있다. 미국 곤충학회 젊은 과학자상, 대한민국 과학 문화상, 국제 환경상, 올해의 여성 운동상 등을 수상했고, 『개미제국의 발견』으로 한국 백상 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다윈 지능』, 『거품예찬』,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당신의 인생을 이모작하라』, 『대담』(공저), 『호모 심비우스』 등이 있으며, 『통섭: 지식의 대통합』, 『인간의 그늘에서』,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생명의 기억』 등을 번역했다.
책을 내며
프롤로그: 별난 동물의 별난 고민
1. 고령화, 무엇이 문제인가?
01 고령화의 빙하가 녹고 있다
02 고령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
03 연금만 믿는다?
04 외국에서 배운다?
05 자연에서 배운다?
2. 두 인생 체제
01 세대의 구분과 정의
02 인생 두 번 살자
03 번식후기는 불필요한 시기인가?
04 세대 갈등, 젊은 세대에게 불리하다
3. 발상의 대전환
01 생물 본연의 자세로
02 조혼 예찬과 출산율
03 복지 혜택은 오히려 젊은 세대에게
04 제2인생은 환원하는 인생
05 대학 문닫을 필요 없다
06 순수혈통의 허구와 열린 이민제도
07 두 인생 체제의 일자리 창출 효과
08 여성 인력의 활용
4. 고령 사회와 국민건강
01 인간은 \'왜\' 늙는가?
02 정말 100세 이상 살게 될 것인가?
03 나한테 제일 중요한 건 내 건강이다
에필로그: 혁명적인 문제에는 혁명적인 발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