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어디로 가나?
어떤 모습으로 다시 설 것인가?
“사회의 각 영역에서 정당화되고 합의된 ‘권위’ 없이 사회질서는 유지되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권위의 구조’는 질서의 또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세계화, 정보화, 민주화 등 지구적 수준에서 전개되는 거대전환의 사회변동 과정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속하고도 전면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정치와 시장, 시민사회가 변화하고 일상적인 삶의 영역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구래의 권위주의적 질서는 빠르게 해체되고 있으나 새로운 권위에 대한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위로는 대통령에서부터 밑으로는 초등학교의 개별 학급에 이르기까지 억압적 권위주의에 유착된 기성의 권위는 해체되고 있으나 새로운 권위의 패러다임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대전환기를 맞은 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권위의 패러다임은 무엇이며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가? 나아가 새로운 권위구조에 대한 합의의 가능성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가? 이 책은 거대전환의 사회변동 국면에서 한국사회가 직면한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저자 : 조대엽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저자 : 김원동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저자 : 박길성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저자 : 송호근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저자 : 신광영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와 한국사회연구소가 매학기 5∼ 6회씩 약 10여 년간 운영해 온 ‘사회학 콜로키움’은 사회학 및 인근 학문분야의 주목받는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유로운 토론의 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2004년 6월에 100회를 맞은 ‘고려대학교 사회학 콜로키움’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한 학술회의의 결과물이다.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양종회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이재경 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임혁백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전상인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제 1 부 거대전환의 사회변동과 권위구조: 해체인가 전환인가?
1장 근대와 탈근대의 권위구조와 권위의 위기
1. 서론
2. 권위란 무엇인가
3. 근대사회의 권위구조와 그 위기
4. 탈근대의 권위구조와 위기
5. 결론
2장 정보사회와 지식 권위
1. 서론: 지식 권위의 현재
2. 정보사회의 지식 권위: 구조적 변화의 원인과 특징
3. 정보사회에서의 지식 권위: 전망과 과제
3장 민주주의와 권위구조
1. 서론: 탈권위주의화가 탈권위로 이어져서는 안된다
2. 권력과 권위
3. 권위주의와 권위
4. 민주주의와 권위
5. 민주적 권위의 구조
6. 민주적 권위의 구축: 지도력과 추종력
7. 민주적 지도자의 통치 스타일
8. 결론: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권위
제 2 부 국가·시장·시민사회와 권위구조의 변화
4장 정치사회와 권위구조의 변화
1. 서론: 새로운 권위의 등장
2. 권력, 정당성과 권위
3. 정치의 탈신비화와 정치 참여
4. 권위주의적 권위와 민주적 권위
5. 정치사회 내의 변화
6. 결론: 새로운 권위 탄생을 위한 과도기
5장 기업의 지배구조와 시장 권위
1. 서론: 기업 권위주의, 그 신화의 몰락
2. 전 지구적 전환과 경제위기, 그리고 시민단체
3. 기업지배구조 변화의 허와 실
4. 글로벌 아젠다로서 기업지배구조
5. 반기업정서와 지배구조
6. 사회가치와 기업지배구조
7. 결론: 시장·기업의 권위, 그 새로운 가버넌스를 위해
6장 시민사회와 권위
1. 2004년: 1987년의 종결
2. 시민단체와 권위: 제도와 운동의 변증법
3. 시민사회와 ‘저항의 권위’
4. 시민사회와 ‘소통의 권위’
5. 새로운 정당성: 저항에서 소통으로
제 3 부 가족·교육·세대와 권위구조의 변화
7장 가부장적 권위 이후의 가족
1. 서론: ‘가족 위기’ 어디서 오나
2. 한국가족의 변화와 권위구조
3. 결론: 가부장적
8장 문화 없는 문혁(文革)시대
1. 서론: 모든 것이 변해야 한다고 믿는 시대
2. 교육현장: 무너진 권위와 무기력한 사회적 역할
3. 학문세계: 지식지배구조의 변화
4. 결론: 문화혁명, 기준과 준거가 중요하다
9장 세대와 권위
1. 권위의 붕괴: ‘자율 세대’의 냉소
2. 불신(Distrust): 현상과 증거들
3. 위계적 권력의 붕괴 과정
4. 대안 모색: 상징 권력과 설득적 권력
조대엽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