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의 부재가 잉태시킨 흑인 삶의 비극적 양상
힘든 삶의 테두리 안에서
굳건하게 자신의 인생을 지켜 나아가야 했던 흑인들의 삶,
그들의 절망의 시작은 모성의 결핍으로부터였다.
원초적인 결핍, 백인 아이들에게 빼앗긴 어머니의 사랑과 보살핌,
그러한 결핍의 대물림은 부성이 부재하는 아버지를 탄생시켰고
왜곡된 모성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그러한 결핍과 폐해를 끌어안을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사랑이었다.
모성은 가장 위대한 사랑이며 그러한 모성의 회복을 통해서만이 우리는
보편적인 인간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수많은 흑인 여성 작가들과 더불어,
토니 모리슨은 그러한 절대적 모성의 중대함을 피력하고 있다.
본 저서는 이러한 점에 집중하여 흑인 모성을 재조명해 보았다.
저자 : 김미아
1996년 미국 Washington D.C. Maryland 대학에서 석사 학위 논문을 위한 자료 수집과 준비 과정을 마쳤으며, 2003년 작고하신 아버지가 함께 하셨던 전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영어 과목을 강의해오던 중 현 전주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 California State Univ. Fresno University에서 TESOL certificate를 취득했으며 랠프 엘리슨을 비롯, 또 한 사람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흑인 소설가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에 대한 논문을 수차례 연구, 발표해 왔다. 흑인들의 긍정성과 긍정적 이데올로기의 근거를 탐구하고 입증하고자 한 필자의 노력은 집필된 여러 논문에서 찾아볼 수 있다.
1장 서론 - 토니 모리슨이 말하는 모성성
2장 흑인 어머니의 모성
3장 대상관계 이론과 모성
4장 모성 소통의 부재 ? 하층 계급
5장 가면을 한 중산층의 모성
6장 모성의 결여 지점 - 에바
7장 결여된 일차 모성의 몰입 - 루스
8장 모성 부재 - 촐리
9장 정신 병리의 극복 ? 기타, 밀크맨
10장 비극의 악순환 - 루스
11장 모성의 회복과 변화 ? 파일럿, 밀크맨
12장 어머니 여신의 전형 ? 가이아와 성모 마리아
13장 모성 결핍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재즈의 주인공들
14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