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진의 종말의 경제학: 화폐의 종말
자본주의 시스템의 빅 사이클이 마무리되고 있다.
이 사이클의 마지막에는 그간 익숙하고 자연스러웠던 시스템이나 제도, 기술 등이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인류에게 안타깝고 두려운 일이지만 반대로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과연 이 종말의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북멘토 : 정철진 경제칼럼니스트
-서울대 경영학과 졸. 삼성생명보험을 거쳐 매일경제신문사 입사
- 경제 및 증권, 부동산 담당 기자로 10년간 활동
- 주요 저서 : <대한민국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투자, 음모를 읽어라> <자본에 관한 불편한 진실> 등 경제/경영 베스트셀러 저자. 장편소설<작전>으로 소설가 데뷔.
- 현재 투자자문 및 경제컨설팅 업무, 방송출연 등을 하고 있으며 신문기자 시절 MBN <선물옵션이좋다> <머니레볼루션> 진행. 이후 SBSCNBC <경제포커스><소상공인 시시각각>, SBS러브FM <정철진의 스마트 경제>진행
1. 프롤로그
- 자본주의 큰 틀이 바뀌어 간다
- 이것은 창조적 파괴이자, 파괴적 창조이기도 하다
- 기술혁명과 소득 불균형 성장 둔화 등을 이유로 새로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자본주의 시스템의 주요 요소들이 ‘종말’하면서 시스템의 변화가 시작된다
2. 성장의 종말
- 뉴 노멀 시대, 이제 저성장 저소득 저소비의 시대가 지속된다
- 왜 세계경제의 성장은 멈추는가
- 성장이 멈춘 후 세상은 어떻게 되는가
- 저성장, 몰성장 시대에 어떻게 돈을 벌어야 하는가?
3. 소유의 종말
- 제레미 리프킨이 말한 소유의 종말 개념
- 모든 것을 빌려쓰는 것은 과연 좋은 건가, 나쁜 건가?
- 빌려쓰는 것은 내게 이로운가 손해인가
- 공유 경제의 허와 실
- 전세의 종말 등 부동산은 어떻게 되는가?
4. 화폐의 종말
- 기축통화는 존재하는가?
- 세계통화는 창조되는가?
- 기존 개념의 화폐제도가 사라진다면, 향후 찾아올 화폐시스템은 무엇이 핵심인가?
5. 투자의 종말
- 인플레이션의 종말
- 계층역전의 종말
- 소득의 급격한 양극화는 결국 투자라는 시스템 자체의 존재를 부인하게 된다
- 투자가 사라지는 시대, 계층 고착화 시대 모습은?
6. 은행의 종말
- 왜 은행시스템은 종말을 맞이할 수밖에 없는가?
- 지급준비율제도는 어떻게 될 것인가?
- 신용창출은 이제 더 가능한 것인가?
- 핀테크는 현 은행 시스템의 호재인가 악재인가?
7. 노동의 종말, 정규직의 종말
- 우린 모두 비정규직이 될 것이다
- 노동을 통한 수익창출이 불가능하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 디지털을 이기는 아날로그적 파워가 필요하다
8. 스마트폰의 종말
- 스마트폰은 곧 웨어러블 프러덕트로 전환된다
- 생체 칩에 대해 들어보았는가?
- 토탈리콜의 사회가 시작된다
9. 자율의지의 종말
- cctv가 지배하는 사회
- 야동은 이제 고가에 팔리게 된다
- 감시와 통제 사회에서 필요한 경제학, 필요한 비즈니스란?
10. 에필로그
- 종말의 경제가 도래할 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전쟁의 경제학, 패권의 경제학
- 새로운 세계경제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