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기 홍장과 풍류 순찰사 (차상찬 역사/야담 소설)
박충숙신(朴忠肅信)은 순찰사(巡察使)로 강릉에 갔다가 홍장이 강릉에서 상당히 예쁜 여자라는 말을 듣고 친히 찾아가서 일시의 아름다운 인연을 맺고는 항상 생각하며 꿈속에서도 그리워서 잊지 않고 있더니 그 뒤에 각 군의 순찰을 마치고서 돌아오는 길에 다시 홍장의 집을 찾으니 홍장은 간 곳이 없고 다만 빈집만 남아 있는데 무정한 개는 옛 주인의 정랑을 알지 못하고 문 앞에서 멍멍 짖고 의구한 달빛만 창공에 비치어 고객의 회포를 일으킬 따름이었다. -<본문에서>
차상찬 선생은 한국 근대사에서 아주 드믄 언론·출판계의 거목이었고 야인의 기질을 갖춘 민중운동가이기도 했다. 생전에 “왜놈들이 망해서 게다짝을 끌고 도망가는 것을 꼭 보고 말겠다! 그래야 하고 싶은 일도 한껏 펼친 텐데…”라며 탄식했다고 한다.
사화(史話)ㆍ인물만평(人物漫評)ㆍ사회풍자(社會諷刺)ㆍ만필(漫筆)ㆍ소화(笑話)ㆍ민속설화(民俗說話) 등 다양한 글을 발표하였다.
차상찬(車相瓚. 1887∼1946)
* 시인, 수필가, 언론인. 호는 청오(靑吾). 강원도 춘천 출생.
* 1910년 보성고등보통학교 1회 졸업.
* 1912년 보성전문학교 법과 졸업.
* 1920년 《개벽》지 동인으로 참여.
* 1921년 우리나라 최초의 기자단체인 《무명회(無名會)》 가입.
* 1922년 방정환과 함께 어린이운동, <어린이 날>제정 참여.
* 1926년 《개벽》지 폐간 때까지 편집주간, 발행인 역임.
* 1931년 조선잡지협회 창립위원.
* 1934년 사재를 털어 《개벽》을 속간, 다시 폐간됨.
* 1936년 조선어학회의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 위원.
* 주요 저서 <조선7대 내란기> <조선2대 정변기> <동방3대국 창건기> <장희빈애화> <사도세자애화> 등 역사를 정사(正史)보다는 이면사(裏面史)와 비사(秘史) 야담(野談) 등을 중심으로 저술함.
강릉기 홍장과 풍류 순찰사 (차상찬 역사/야담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