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이미지한의원 화상흉터 진피 재생 BT침 흉터침치료

이미지한의원 화상흉터 진피 재생 BT침 흉터침치료

저자
홍성민
출판사
유페이퍼
출판일
2013-03-29
등록일
2018-12-17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교보문고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화상흉터는 분명히 치료가 되는 치료 가능한 질병이며, 서양의학의 피부이식이나 기타 레이저 수술등에 비교하여 이미지한의원의 화상흉터침인 BT침이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예시글

염제 신농씨 화전 화상흉터 치료

신농(神農]은 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임금. 삼황(三皇)의 한 사람. 성은 강(姜). 백성에게 따비와 보습을 이용하여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으므로 ‘신농’이라고 불리며 농업의 신으로 숭앙됨. 또한 ≪신농본초(神農本草)≫를 짓고, 물건의 교역(交易)을 시작했다. 한편, 화덕(火德)으로 임금이 되고 불로써 관리를 통제했다 하여 염제(炎帝)라고도 하며, 열산(烈山)에서 일어났다 하여 열산씨(烈山氏)라고도 칭한다. 신농씨는 여러 풀을 맛보아 한약재인 본초를 창시한 분이며 박시제중(博施濟衆) 신농유업(神農遺業) 등의 간판을 걸은 한의원도 존재할 정도로 한의학의 시조이다. 그런데 신농이 염제란 불꽃 황제란 이유가 처음에 농사를 시작할때는 풀이나 나무가 우거진 곳이기 때문에 불을 놓아서 화전 경작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염제라고 했다.
화전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랜 농경방식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중국의 화경(火耕)이나 일본의 야키바타(燒畑)도 화전과 같다. 화전을 개척하면 그 동안에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화전에 의한 농업은 유랑화전농업(流浪火田農業)과 정착화전농업(定着火田農業)으로 구별된다. 전자는 작물재배를 계속하여 지력이 수탈되면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화전을 개척하므로 이것을 전경화전농업(轉耕火田農業)이라고도 한다.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많은 데 반하여 인구가 적으면 전경이 가능하였다.
반면, 인구가 증가하고 화전으로 개척할 장소가 적어지면 전경이 곤란해지므로 일정한 곳에 정착하여 화전을 경작할 수밖에 없게 된다. 정착경작을 하면 지력의 소모가 문제가 되므로 지력이 소모되면 일단 휴경하였다가 지력의 회복을 기다려서 다시 불을 놓고 경작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휴경과 경작을 엇바꿔서 하는 경우를 윤경(輪耕)이라고 한다.
화전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비옥한 땅에 알맞은 작물(감자 따위), 다음에는 보통 토양에 알맞은 작물(조 따위), 나중에는 척박한 땅에 적응하는 작물(귀리 따위) 등의 작물종류를 선택하는 등의 배려와 함께 콩·팥 등의 콩과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의 소모를 완화하는 데에도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화전농업은 작물의 재배와 더불어 시작되어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 등 북부 여러 종족에서는 화전식 농경이 있었다고 하며, 경작도구로는 위원에서 발굴된 쇠가래가 있다. 광복과 더불어 화전민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며 산림녹화 및 토양보존의 중요성 때문에 1968년 <화전정리법 火田整理法>이 공포되면서 주로 강원도 산간지방에 남아 있던 화전민을 다른 지방에 정착시켰으며, 화전은 법령으로 금지되어 있다.
화전의 제일 큰 문제는 산불을 유발할 수 있고 또 나무가 사라지면 산사태나 홍수등의 예방을 하지 못하는데 있다. 또 불을 놓으면 사람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화상은 보통 심부 2도 이상의 화상은 흉터를 남기게 된다. 화상흉터는 이미지한의원의 BT침 화상흉터침을 치료가 가능한데 보통 10회를 시술받으며 손, 발, 손가락, 얼굴등 말단부위의 치료효과가 좋다.

뜨거운 것 만졌을 때 귀를 만짐과 화상흉터 치료

뜨거운 것을 만졌을 때 귀를 잡는 이유는 귀가 가장 체온이 낮은 곳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신체부위마다 체온이 조금씩 다르며 귀의 온도가 낮은 이유는 지방 조직이 없어서 쉽게 열을 빼앗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손으로 뜨거운 것을 만지면 귀에 손을 가져가게 된다. 귀가 겨울에 추위를 가장 잘 타고 동상이 걸리기 쉬운 신체 부위이며 귀 다음으로는 코와 발이 온도가 낮아서 추울때 코가 빨갛게 되고, 발이 동상에 잘 걸린다.
간혹 조건반사 때문에 귀를 만진다고 하지만 귀를 만지는 것은 학습에 의해서이며 필자는 뜨거운 것을 잡고 귀를 만지지 않았던 경험이 많다.
아무튼 화상을 입지 않기 위해서는 귀를 만지는 것보다 찬 흐르는 물에 열기를 식히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렇게 조심을 한다고 해도 또한 화상흉터가 남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이미지한의원의 화상흉터침인 BT침으로 진피를 효과적으로 자극해서 재생시키는 방법을 선택하기 바란다.
연탄불과 화상흉터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