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부문 개발과 구조전환을 통한 한국경제 발전
▶ 이 책은 KDI의 농업부문 개발과 구조전환을 통한 한국경제 발전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정혁)
제2장 한국의 구조전환과 경제발전 관계에 대한 거시경제 이론적 고찰 및 실증분석 (정혁)
제1절 구조전환의 장기 패턴
제2절 구조전환의 이론 모형
1. 생산관계
2. 가계부문
3. 총요소의 부문 간 배분
4. 개별 생산요소의 부문 간 배분
5. 부문 생산성 변화와 총요소의 부문 간 배분
제3절 한국경제 구조전환의 실증분석
1. 부문별 생산요소 투입 및 총요소생산성 측정
2. 한국의 구조전환과 부문별 생산성
제4절 한국 구조전환 과정의 농업정책
1. 한국 농정의 변천과정
2. 한국 농정의 변화와 농업생산성 변화
참고문헌
부 록
제3장 한국농업의 구조전환 과정과 경제발전에 대한 역할 논의(유영봉)
제1절 서 론
제2절 경제발전과 농업구조전환에 관한 분석관점
1. 경제발전과 농업부문의 역할 변화
2. 경제발전과 농업구조의 특성 변화
3. 경제발전과 농업과 비농업 부문의 상호작용 변화
제3절 한국농업의 성장과 구조전환의 특성
1. 한국경제의 성장과 구조전환 과정: 1955~2012년
2. 한국농업의 성장과 농업구조전환 과정
3. 한국농업 구조전환 과정의 시기 구분과 특성 분석
제4절 한국농업의 성장과 경제발전에 미친 영향
1. 한국경제 발전에 대한 농업의 역할 분석
2. 한국농업의 비농업부문과의 상호작용 분석
3. 한국농업이 경제발전에 미친 영향 평가
제5절 한국농업 구조전환 경험의 경제적 의미와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제4장 한국의 농업성장 분석: 1955∼2012년의 산출, 투입 및 생산성 추계를 중심으로 (황수철)
제1절 서 론
제2절 농업산출의 추계와 분석
1. 농업산출의 정의와 추계 범위
2. 실질농업생산액의 추계
3. 추계 결과: 집계적 산출의 성장과 그 특징
제3절 농업투입의 추계와 분석
1. 농업노동력의 추계
2. 토지투입의 추계
3. 농업경상재 투입의 추계
4. 농업고정자본의 추계
제4절 농업생산성의 계측과 분석
1. 총요소생산성(TFP)의 변화
2. 한국농업의 성장경로
제5절 요약 및 결론
보 론
참고문헌
부 록
제5장 한국 농가소득의 장기적 추이에 대한 연구 (이명헌)
제1절 서 론
제2절 자료의 문제
제3절 농가소득의 장기적 추이
1. 농가의 부존
2. 농가소득 수준과 구성의 변화
제4절 농가와 비농가(근로자가구)의 소득 비교
1. 도입
2. 개념적 논의
3. 자료와 추정 결과
제5절 농가소득의 불균등성의 추이와 농가소득 구성 부분별 분해
1. 도입과 선행연구
2. 농가소득 불균등성의 추이와 분해
3. 자료와 추정 겨로가
4. 농가소득의 불균등성의 추이와 농가소득 구성부분별 분해
제6절 소결론
참고문헌
제6장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에 대한 이해 (김홍상)
제1절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의 개념적 이해와 의의
1.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의 개념적 이해
2.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 관련 주요 대상 사업
제2절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 사업 추진
1. 체계적 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정비
2. 농업용수 개발 추진 과정과 실적
제3절 농업용수 개발 및 이용의 성과
1. 개요
2. 주요 성과 내용
3. 농업용수개발사업 효과 분석 사례
제4절 한국 경험의 의의와 연구과제 발굴
1. 한국 경험의 개발도상국 개발에 대한 의의: 교훈과 시사점
2. 추후 연구과제 발굴
참고문헌
부 록
제7장 한국 농지개혁이 토지생산성에 미친 영향 (조석곤)
제1절 머리말
제2절 식민지지주제 및 농지개혁이 토지생산성에 미친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 식민지지주제는 효율적인 생산체제였는가?
2. 영세자작농체제는 식민지지주제에 비해 효율적이었는가?
제3절 193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미곡 토지생산성의 비교
제4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결 론 (정혁)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