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경제의 분야별 현안 분석과 대북정책에의 시사점
▶ 이 책은 KDI의 북한경제의 분야별 현안 분석과 대북정책에의 시사점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발간사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인구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데이터
2. 접근방법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1946~87년 공민등록통계와 북한의 인구 추세 분석
2. 1993년 센서스와 접근방법의 분화
3. 1990년대 중후반 북한 기근의 인구학적 영향력 추정
4. 2008년 제2차 센서스 분석: 기존 시각 vs. 새로운 시도들
제4절 성과와 한계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3장 거시경제 추세와 GDP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GDP 데이터
2. 무역 데이터
3. 산업 및 농업 생산 데이터
4. 기타 데이터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1990년대 초반 북한경제실태 연구
2. 1990년대 중후반 북한 경제위기와 기근 연구
3. 2000년대 초반 북한의 경제개혁 논쟁
4.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중반 북한의 성장률 증대 기여요인 연구
5. 2000년대 중반 한국은행의 북한 GDP 추정치 논쟁
6. 2000년대 후반 이후 북한 경기(景氣)논쟁
제4절 성과와 한계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4장 물가와 인플레이션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국정가격
2. 시장가격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가격자유화정책
2. 인플레이션의 원인
제4절 성과와 한계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산업과 기업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1990년대 초중반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연구
2.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북한 기업행동양식 연구
3. 2000년대 후반 이후 북한 시장화 및 기업행동 변화 연구
제4절 성과와 한계
1. 1990년대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
2. 2000년대 북한의 기업관리체계 및 기업행동양식의 특징
3. 기업 지배구조 및 소유구조의 변화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6장 농업 및 식량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정량적 자료
2. 정성적 자료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
2. 1990년대 북한 농업실태와 주민들의 영양상태 연구
3. 2000년대 북한 농업정책 변화와 남북농업협력 연구
4. 2010년대 북한 농업개혁과 식량사정 변화 연구
제4절 성과와 한계
1. 성과
2. 한계와 과제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7장 대외무역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북한 대외무역통계의 종류
2. 북한 대외무역통계에 대한 이슈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
2. 주요 논의의 쟁점
제4절 성과와 한계
1. 성과
2. 한계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시장 및 비공식 부문
제1절 머리말
제2절 데이터
1. 탈북자 설문조사
2. 거시경제 데이터
3. 정성적 자료
제3절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과 결과
1. 주요 논의의 전개과정
2. 주요 논의의 쟁점
제4절 성과와 한계
1. 성과
2. 한계
제5절 맺음말
참고문헌
제9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정책적 시사점
1. 정책적 인식의 변화
2. 정책 자신감과 국제공조
3. 정책적 목표의 변화1
4. 정책적 목표의 변화2
5. 정책대상의 변화
6.대북정책의 新지평
제2절 한계 및 향우 연구방향
<부록>북한경제 문헌리스트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