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사 Q&A 제25호 (9월4주)
우리가 매일 접하는 신문 기사 가운데 정치, 사회, 문화, 생활, 스포츠 관련 기사는 팩트(fact)만 있으면 내용이 구성 됩니다. 그러나 경제?금융 관련 기사는 팩트 외에 팩트를 뒷받침하는 관련 이론이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경제?금융 관련 기사에는 최소한 두어 개 정도의 경제·금융 관련 이론이 들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금융 관련 기초 지식이 없는 분에게는 경제기사가 어렵기만 합니다. 그러나 이제 <경제기사 Q&A>와 함께 6개월 정도 경제기사 학습여행을 떠나면 독자 여러분도 경제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하세용
Contents Creator. 신문, 잡지, 인터넷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많은 컨텐츠를 경제·금융 이론과 연결해 새로운 지식 컨텐츠로 만들어내고 있다.
(현)해커스(fn.pass.com, 금융권 취업대비 경제 · 금융 · 시사 · 논술 강의)
(전)매경테스트 강의
(전)전북대학교(경제이해력)
(전)서울과학기술대(시사상식)
(전)서울금융고등학교(은행권 취업)
(전)대전교육청(대전지역 특성화고교생 은행취업 특강)
연락처: 010-2305-7074(카톡 prebanker)
메일: jobdata@naver.com
편집자가 직접 운영하는 네이버 카페(cafe.naver.com/prebanker)와 네이버 오픈캐스트(EA711/5)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01 글로벌 M&A시장 후끈
02 환헤지 방법은?
03 VIX 지수의 단점은?
04 Super cycle vs Super spike
05 컴퓨터 게임 셧다운제, 필요하나?
06 공화당의 오바마 캐어 반대 이유는?
07 미국의 소비동향 파악 지표는?
08 마크 파버 vs 루비니
09 중국 탈출 러시 이유는?
10 카메라시장을 버리는 카메라업계
11 미세조정(fine tuning)의 시작은?
12 유동자산 증가의 의미는?
13 다초점 렌즈식 복지란?
14 KIKO에 KO패 당한 중소기업들
15 영화 ‘연평해전’에 투자한 IBK
16 하인리히 법칙 vs 란체스터 법칙
17 나의 특징을 소개한 비법은?
18 당신의 장점과 단점은?
19 금융권 논술 고득점 비결은?
20 면접에 ‘運七努三’이 작용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