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사 Q&A 제22호 (9월1주)
우리가 매일 접하는 신문 기사 가운데 정치, 사회, 문화, 생활, 스포츠 관련 기사는 팩트(fact)만 있으면 내용이 구성 됩니다. 그러나 경제?금융 관련 기사는 팩트 외에 팩트를 뒷받침하는 관련 이론이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경제?금융 관련 기사에는 최소한 두어 개 정도의 경제·금융 관련 이론이 들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금융 관련 기초 지식이 없는 분에게는 경제기사가 어렵기만 합니다. 그러나 이제 <경제기사 Q&A>와 함께 6개월 정도 경제기사 학습여행을 떠나면 독자 여러분도 경제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하세용
Contents Creator. 신문, 잡지, 인터넷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많은 컨텐츠를 경제·금융 이론과 연결해 새로운 지식 컨텐츠로 만들어내고 있다.
(현)해커스(fn.pass.com, 금융권 취업대비 경제 · 금융 · 시사 · 논술 강의)
(전)매경테스트 강의
(전)전북대학교(경제이해력)
(전)서울과학기술대(시사상식)
(전)서울금융고등학교(은행권 취업)
(전)대전교육청(대전지역 특성화고교생 은행취업 특강)
저자 이메일 | jobdata@naver.com
01 칩머니(cheap money) 종언?
02 비관세 장벽이란?
03 다시 ‘레버리지 경영’으로!
04 완충자본의 역할은?
05 중국의 대국굴기는 언제 완성?
06 브릭스외환준비기금의 성격은?
07 ‘상하이 FTZ’의 정체는?
08 시진핑의 ‘30억 실크로드’ 구상은?
09 中 ‘녹색혁명’ 최대 수혜국은?
10 아베노믹스의 핵심은?
11 창조경제의 핵심은?
12 저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13 실질GNI 상승의 의미는?
14 저출산·고령화 해결책은?
15 New-Swedenization의 해법은?
16 신중년 고객 유치 방안은?
17 금융권 논술 고득점 해법은?
18 금융권의 우수인재 확보 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