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설 국가와 혁명과 나
<국가와 혁명과 나>(초판 1963)는 혁명 2년을 넘기고 반성 어린 눈으로 저간의 성과를 돌아보는 동시에, 곧 다가올 민정 이양을 앞두고 대한민국의 청사진을 그리는 한편 개인 박정희의 소회를 피력한 책이다. 제목 그대로 ‘국가’와 ‘혁명’과, 그리고 마지막 짧게 ‘나’가 책 내용의 골자를 이룬다. 먼저 혁명은 왜 필요하였는가를 이야기한다. 책을 낸 때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2차연도이기도 했다. ‘수치의 달인’ 박정희답게 산업과 측면의 제반 지표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혁명의 성과를 정리해 본다. 반성도 섞여 있다. 가뭄으로 인한 개발목표 미달은 그렇다 치더라도, 화폐개혁이나 농어촌 고리채 정리가 무리수였다고 스스로 진단하는 대목에서는 모골이 송연하다.
"박정희 전집을 펴내며
풀어 쓰면서
책머리에
제1장 혁명은 왜 필요하였는가: 1960년대의 국내 정세
1. 30억 달러의 원조 내역과 그 경과
1) 48 대 52라는 부끄러운 국가예산 / 2) 절실한 시설재와 원치 않는 소비재의 역전 원조 / 3) 잉여농산물과 농정 실패가 때려눕힌 농촌 / 4) 소비재 치중 원조가 가져온 어이없는 결과들
2. 파탄에 직면한 민족경제
1) 농촌은 망가지고 국제수지는 기약 없이 적자인 나라 / 2) 방치된 공업화와 심각한 석탄 문제 / 3)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전력사정 / 4) 천 길 물속의 지하자원 / 5) 국가 관리 기업체의 파탄 / 6) 은행 대출로 본 부실기업 실태
3. 4.19혁명의 안타까운 유산(流産)과 민주당의 끔찍한 유산(遺産)
4. 폐허의 한국 사회
5. 5.16이라는 새벽의 혁명
제2장 혁명 2년간의 보고
1. 구악(舊惡)의 청소와 환경정리
2. 혁명 2년간의 경제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 외자도입 실적과 그 개관 / 3) 산업부문별 실적 / 4) 주요 산업별 실적 검토 / 5) 주요 생산품 생산실적 / 6) 기간산업 건설 / 7) 정부 직할 기업체의 운영합리화 / 8) 농림행정 부문 / 9) 교통 체신 부문
3. 적극적으로 외교에 나서다
4. 문화, 예술, 교육의 질적 변화들
5. 민족의 비약을 위한 뜀틀, 재건국민운동
제3장 혁명의 중간결산
1. 혁명과 나
2. 자기비판과 반성
3. 나의 심경
1) 지위를 바라지 않는다 / 2) 2.27선서와 나 / 3) 3.16성명에서 4.8성명으로 / 4) 국민의 의사에 복종한다
4. 혁명은 성취되어야 한다
1) 혁명의 본질과 반동의 모습들 / 2) 역량을 갖춘 진정한 국민을 기대한다
제4장 세계사에 부각된 혁명의 여러 모습
1. 혁명에 성공한 각 민족의 재건 유형
1) 중국의 근대화와 쑨원 혁명 / 2) 메이지유신과 일본의 근대화 / 3) 케말 파샤와 터키혁명 / 4) 나세르와 이집트혁명
2. 중근동과 중남미의 혁명 사태
1) 중근동 혁명과 ‘아아(亞阿)클럽’ / 2)오로지 정권 쟁탈전인 중남미의 혁명 사태
3. 혁명의 여러 모습에서 배우고 깨우치다
제5장 라인 강의 기적과 불사조 독일민족
1. 패전국 독일의 처참한 사회상
2. 라인 강의 기적
3. 라인 강의 기적을 기적이라 불러서는 안 되는 이유
4. 독일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
제6장 한.미, 한.일 관계
1. 혈맹국가 한국과 미국이 가야 할 길
2. 일본의 성의 있는 자세와 태도를 바란다
제7장 조국은 통일될 것인가
1. 민족의 비극 38선
2. 분단에 몸부림친 18년
3. 통일을 위한 우리의 각오
제8장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5천 년 역사를 새롭게 쓰자
1) 퇴영과 조잡과 침체의 망국사 / 2) 악의 창고 같은 역사는 차라리 불살라 버려라
2. 붕당에서 공당(公黨)으로, 세대교체를 통한 새로운 정치풍토를
3. 자립경제의 건설과 산업혁명
1) 경제위기와 혁명의 목표 / 2) 가다가 아니 가면 아니 감만 못하다 / 3) 피와 땀과 인내로 한강의 기적을
4. 5.16의 성격과 방향, 그리고 이상(理想) 혁명
1) 이상(理想) 혁명과 조용한 개혁 / 2) 희망찬 사회를 위한 역사적 선택은 국민의 손에
5. 조국의 미래를 그리다
6.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