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모던타임스
타임머신을 타고 떠나는 100년 전의 경성
『경성 모던타임스: 1920년 조선의 거리를 걷다』는 ‘한림’이라는 가상 인물을 관찰자이자 서술자로 내세워 1920년대 근대의 중심에 있던 경성을 역사적 사건, 사회, 문화적 측면으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보여주는 책이다. 저자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약 1년 동안 [신동아]에 연재된 ‘잃어버린 근대를 찾아서’를 묶은 것으로, 당시의 신문, 잡지, 공문서, 지도 등의 공적 기록과 일기, 회고록 등의 사적 기록을 찾아 상세한 자료조사로 생동감 있게 전한다. 모던걸과 모던보이가 살던 1920년대 경성의 모습을 보여줌과 함께 그때의 삶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짚어본다.
이 책은 크게 두 가지 축으로 나누어 이야기를 소개한다. 하나는 국내외에서 끊임없이 일어난 일제에 대한 저항운동을 보여주고, 다른 하나는 일제의 문화정치와 서양에 의해 들어온 새로운 풍속에 대해 소개한다. 한림의 눈과 귀를 통해 당시의 신문기사, 실록 등의 사료를 보여주고, 이 시기를 직접 겪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아 일제강점기가 그들의 인생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들려준다. 반면, 왕조가 사라지면서 왕과 백성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개인이라는 개념의 등장과 카페문화, 영화 관람 등의 모습을 생생히 묘사해 1920년대 경성의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경향과 현상을 그렸다.
저자 : 박윤석
저자 박윤석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한국 신문의 역사에 관해 연구했다. 동아일보에서 20년간 기자로 일했다. 신문기자로 현장 실무에 종사하면서 근대 신문과 잡지의 실사(實査) 작업을 병행했다. 건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와 근대 신문에 관하여 강의했고, 서울시립대학교에서 동아시아 근현대와 한국문학에 대하여 강의했다.
프롤로그: 과거는 외국처럼 낯설다 005
1부. 1929년 12월 서울
1장. 낙화유수-청계천에서 013
2장. 재즈가 소용돌이치는 카페-광교에서 053
3장. 망국 대신을 왜 찾아왔소-장교동에서 083
4장. 모모족이 즐겨 찾는 사랑의 아이스커피-황금정에서 107
5장. 그래도 윤전기는 돌아간다-광화문에서 127
6장. 신여성은 넓적다리부터 전진한다-종로에서 148
2부. 1920년 4월 서울
7장. 밀려오는 개조의 물결, 피어나는 자각의 불길-안국동에서 193
8장. 열차는 경성으로 떠나네-경부선에서 217
9장. 죽은 나라님이 백성을 구한다면-덕수궁에서 251
10장. 하느님이 도우사 조선을 자주독립국으로-황금정에서 268
11장. 당내에 당이 있고 파 안에 파가 있어-관철동에서 301
12장. 러시아의 향불-정동에서 338
13장. 꽃향기는 봄바람에 날리고-창경원에서 369
미주 415
박윤석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