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하나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과정을 거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절차를 밟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즉,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을 요구한다. 개발자의 전문적인 능력에는 객관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와 프로그램의 운영과 평가에 관한 역량이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현재 상담 및 교육 기관에서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와 대학원생을 교육할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현재 계명대학교 인문국제학대학 기독교학과 상담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기독교심리상담학회 감독, 한국청소년상담학회감독,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정신보건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다. 기독영성상담연구소의 지도교수와 G2심리상담센터에서 상담 및 상담실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칭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효과적인 설득의 기술’을 개발하여 강연 및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성경 이야기 상담’이라는 상담 이론을 개발하여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상담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마음을 움직이는 대화의 기술」, 「이야기 상담의 과정과 기법」, 「성경 이야기 상담」, 「성경 이야기 상담 가이드 북」, 「다음 세대를 품는 집단상담 수련회」, 「성경적 영성 형성」, 「상담으로 풀어본 신학」, 「목회상담 이론 입문」, 등이 있다.
역서로는 「대중을 사로잡는 연설」, 「논증의 달인」, 「자기표현의 기술」, 「면접가이드-Interview Q&A Book」, 「면접가이드-Interview Book」 등이 있다."
"CHAPTER 01?프로그램 개발 기초
프로그램의 의미
프로그램의 영역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과 원리
상담 프로그램의 특징
상담의 의미와 특징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방법과 절차
CHAPTER 02?프로그램 개발, 이론의 필요성
이론의 의미와 기능
이론의 중요성
이론의 선택 기준
교육 프로그램의 학문적 기초
상담 프로그램의 학문적 기초
CHAPTER 03 프로그램 개발 모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
CHAPTER 04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기획의 의미
프로그램 기획의 성격과 필요성
프로그램 기획의 원칙과 과제
프로그램 기획의 단계
프로그램 기획 팀 구성
프로그램 기획의 상황 분석
CHAPTER 05 프로그램 요구 분석
요구의 개념
요구 분석의 개념
요구 분석의 필요성과 목적
요구 분석의 도구
요구 분석의 절차
CHAPTER 06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설정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개념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기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설정 기준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설정 방법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의 진술 방법
CHAPTER 07 프로그램 내용 구성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개념과 원리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절차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구조화 방법
프로그램 내용 구성의 사례
CHAPTER 08 프로그램 활동 요소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개념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구성 절차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선정과 원리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조직 준거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수집과 개발
프로그램 활동 요소의 잠재적 효능성 평가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 요소
프로그램 지침서 제작
CHAPTER 09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 실행의 개념
프로그램 실행의 원리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진행
CHAPTER 10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프로그램 평가의 필요성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프로그램 평가의 영역
프로그램 평가의 단계
프로그램 평가의 종결
CHAPTER 11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프로그램의 목적과 성격
이론적 배경
프로그램 구성 요소
회기별 목표 및 내용
프로그램의 실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피앤씨에듀에서 출간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