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학
"편찬위원장
박상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찬위원회 (가나다 순)
강철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곽이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민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박선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윤기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용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최승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최준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최평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집필진 (가나다 순)
강창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강철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현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곽이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구남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권기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권순경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권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김남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김민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백남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성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신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김양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연숙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김연재 국립중앙의료원
김영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김예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김우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윤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김지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김지현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시스템생물학과
김진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김진용 인천광역시의료원
김창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충종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김 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김홍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노지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경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경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박대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성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박정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진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방지환 국립중앙의료원
백경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서유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서준원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성 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흥섭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손준성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송경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송진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소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안종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진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엄중식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염준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염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오원섭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원은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위성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시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유진홍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윤기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나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은병욱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이동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상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선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은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진수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이창섭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현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효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전민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전재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전재현 국립중앙의료원
정두련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봉광 한국건강관리협회
정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숙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은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지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희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조남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조선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조성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은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조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범식 국립중앙의료원
채규태 국립소록도병원
최상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최성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최성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최수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최영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영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최원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은경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최재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최준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최평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추은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한미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허경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허중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허지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허지원 충남대학교 생명정보융합학과
홍성관 차의과학대학교
황상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추천사
3판 발간사
2판 발간사
초판 발간사
집필진
Section 1. 기본 총론
1. 감염질환의 변천사
2. 감염병의 신속분자검사 진단
3. 예방접종
4. 의료관련감염의 관리
5. 우리나라 감염병 관리 정책
Section 2. 임상총론
1. 발열
2. 불명열
3. 패혈증
4. 중추신경계 감염
5. 안감염
6. 상기도 감염증
7. 하기도 감염
8. 심혈관계 감염: 감염성 심내막염
9. 복강내 감염과 농양
10. 위장관 감염
11. 요로감염
12. 생식기계 감염
13. 피부연조직 감염
14. 골관절 감염
Section 3. 세균 질환
1. 세균의 구조
2. 세균의 분류와 마이크로바이옴
3. 세균감염의 진단
4. 포도알균 감염
5. 사슬알균 감염
6. 폐렴알균 감염
7. 장알균 감염
8. 디프테리아
9. 리스테리아
10. 클로스트리듐 감염증
11.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 감염
12. 탄저균 감염
13. 수막알균 감염
14. 임균감염
15. 헤모필루스와 모락셀라 감염
16. 레지오넬라증
17. 백일해
18. 그람음성 장내세균 감염
19. 녹농균 감염
20. 아시네토박터균 감염
21. 캠필로박터와 헬리코박터 감염
22.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23. 비브리오 패혈증
24. 브루셀라
25. 페스트와 야토병
26. 노카디아증
27. 방선균증
28. 혐기균 감염
29. 결핵
30. 한센병
31.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질환
32. 매독
33. 렙토스피라병
34. 라임병
35. 리케차병과 큐열
36. 마이코플라즈마와 클라미디아
Section 4. 바이러스 질환
1. 바이러스 개요
2. 바이러스 질환의 진단
3. 단순포진바이러스
4.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5.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6. 거대세포바이러스와 사람헤르페스 바이러스 타입 6, 7, 8
7. 파보바이러스 B19
8. 사람유두종바이러스
9. 호흡기바이러스
10. 인플루엔자
11. 바이러스 위장관염
12. 엔테로바이러스
13. 홍역, 풍진, 볼거리
14. 광견병(공수병)
15. 신증후출혈열
16.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17. 코로나-19
18. 엠폭스와 그 외 폭스바이러스
19. 에볼라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바이러스
Section 5. 진균 질환
1. 진균감염의 개요
2. 칸디다증
3. 크립토코쿠스증
4. 아스페르길루스증
5. 털곰팡이증
6. 폐포자충증
7. 흔하지 않은 진균감염
8. 표재진균감염
Section 6. 기생충 질환
1. 장내 선충 감염증
2. 장내 조충 감염증
3. 흡충 감염증
4. 조직침습성 연충 감염증-1
5. 조직침습성 연충 감염증-2
6. 장내 원충 감염증
7. 질편모충과 톡소포자충
8. 말라리아
9. 해외유입 기생충 질환
10. 그 외 기생충 질환: 자유생활아메바, 옴, 빈대
11. 여행의학
Section 7. 특수한 환자의 감염
1. 항암 치료 후 감염
2. 면역억제제 투여자에서의 감염
3. 선천성 감염과 신생아 감염
4.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감염
5. 고형장기이식 후의 감염
6. 화상 환자의 감염
7. 노인 환자의 감염
8. 당뇨병과 비장절제 환자에서의 감염
9. 프리온
Section 8.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과 에이즈
1. HIV 감염의 역학
2. 국내 HIV 감염의 특성
3. HIV 감염의 발병기전
4. HIV 감염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검사
5. HIV 감염의 임상 양상
6. HIV 기회 질환
7. HIV 감염의 치료
8. HIV 감염의 예방
색인"
대한감염학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