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스코필드
스코필드 박사 추모기념강연 선집 『다시 보는 스코필드』.
저자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엮음)
엮은이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은 2017년에 개교 7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1947년 개교 이래 한국 수의학 교육을 이끌어 왔던 서울대 수의대는 지난 70년 동안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단과대학 지위를 잃는 등, 위기를 맞은 적도 있었으나 1998년 6년제 수업연한 도입과 함께 2003년 관악 캠퍼스 이전 후 집중적 투자와 노력으로 세계 수준의 수의학 교육 및 연구 기관으로서 기반을 구축하였다. 더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 즉 반려동물 임상, 의생명과학, 동물질병 및 인수공통질병 예방과 방역, 식품과 환경 안전, 동물복지, 생태계 보전, One Health 분야에서 전문적 역량을 갖춘 수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성과 바탕 교육과정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스코필드 박사는 1958년부터 1970년 서거 시까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병리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부 스코필드 회고 ● 11
스코필드 박사의 생애와 대한민국에 대한 그의 사회적 학문적 공헌
한홍률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회고
박허식 | 청주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을 사랑한 서양인
정운찬 | 전 서울대학교 총장
내가 만난 스코필드 박사
최세훤(최춘자) | 프리랜서
나의 영원한 은인, 스코필드 박사
김인균 | Stock Plan, Korea
스코필드 박사: 학자 겸 선교사 - 그의 정신을 과테말라에 전하다
김현영 | 과테말라 산칼로스 국립대학교 초빙교수
스코필드 박사의 삶과 글과 유훈
최진영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2부 한국의 독립운동과 스코필드 ● 99
스코필드 박사와 3·1독립운동
이만열 |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3·1독립운동과 스코필드 박사
신용하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독립운동과 외국인
홍선표 |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팀장
한국의 독립운동과 스코필드 박사
이종찬 | 우당기념관 관장, 전 국정원장
내한 100주년을 맞아 스코필드 박사를 다시 생각한다
이만열 |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3부 세계적인 수의학자 스코필드 ● 225
온타리오 수의과대학 시절 프랭크 스코필드의 곰팡이 핀
전동싸리 항응고제의 발견 및 생물의학에 미친 영향
앤서니 헤이즈Anthony M. Hayes | 온타리오 수의과대학 교수
스코필드의 연구: 행운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
이안 바커Ian Barker | 온타리오 수의과대학 교수
4부 스코필드의 교육 ● 251
스코필드 박사의 인성 교육
유진 | 전 호랑이스코필드기념사업회 회장
스코필드 박사와 한국 수의학 교육
천명선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의교수
부록 ●269
미주
스코필드 박사 추모기념행사 연혁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