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와 주택시장
▶ 이 책은 KDI의 인구 고령화와 주택시장을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발간사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배경 및 시사점
제2절 장별 요약
1. 고령화와 주택수요
2. 고령화와 주택가격
3. 세대중복모형(OGM)을 통한 분석
4. 국제비교
제3절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제2장 APC 모형을 기초한 장기주택수요 추정
제1절 서론
제2절 선행연구
1. 인구 고령화와 주택수요
2. Mankiw and Weil 모형을 이용한 장래주택수요 추정과 한계
3. 주택수요의 연령효과와 탄생코호트 효과
4. APC(Age-Period-Cohort) 모형
5. 종합
제3절 모형
1. 주택소비의 APC(Age-Period-Cohort)
2. 노동패널 자료에 기초한 APC 효과의 분리
3. 추정모형 및 장래 총주택수요 산정방식
제4절 자료 및 추정 결과
1. 자료
2. 추정 결과
제5절 장기주택수요 추정
제6절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인구 고령화와 주택가격: 소득 및 인구요인의 영향에 대한 국제비교
제1절 서론
제2절 고령화 및 주택가격 추세
제3절 이론적 논거 및 선행연구
1. 주택가격과 인구 고령화: 연계 채널
2. 선행연구: 요약
제4절 실증분석
1. 모형 및 변수
2. 기초통계 분석
3. 계량분석 결과
제5절 시뮬레이션 분석
제6절 정책적 시사점
제7절 결론
참고문헌
부록
제4장 고령화와 주택시장: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한 접근
제1절 서론
제2절 기존 연구
제3절 모형
1. 가계
2. 기업
3. 경쟁균형
제4절 모형 캘리브레이션
제5절 시뮬레이션 결과
제6절 결론
참고문헌
제5장 인구 고령화와 주택수요: 동아시아 3개국 비교 연구
제1절 서론
제2절 관련 동향
제3절 주택수요모형: 서베이
제4절 주택수요 패턴 비교
1. 계량경제모형 예측 및 데이터 사용
2. 추정 결과 (1): 연령효과
3. 추정 결과 (2): 총주택수요
4. 추정 결과 (3): 소득효과
제5절 정책적 대응 및 영향
1. 정책적 대응 (1): 주택자산의 현금화
2. 정책적 대응 (2):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부동산 투자수단 구축
제6절 결론
참고문헌
부록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 청년층의 결혼 장려를 위한 주거비용 절감방안
2. 외국인 유입 촉진정책
3. 고령층 및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통한 잠재성장률 제고방안
4. 고령층에 집중된 주택자산의 유동화 방안
5. 부동산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