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보상을 위한 사용설명서_3편 내 조직에 딱 맞는 보상 전략
◆ 컨텐츠 소개
운동화에 특정 센서를 달고 활동하면 운동결과에 따라 축하메시지와 트로피를 주는 <나이키 플러스>앱.
웹 지식 서비스 안에서 채택 답변 수나 답변 채택률에 따라 높은 등급을 부여하는 <네이버 지식in 서비스>
건강을 위한 운동, 혹은 타인과 지식을 나누는 행동, 여기엔 (쉬고) 대중을 스스로 움직이게 만드는 가장 달콤한 마법, ‘보상’이 숨겨져 있다.
그.런.데, 과연 보상은 성과를 극대화시키기만 할까?
미국 듀크대 경제학과 교수인 댄 애리얼리,
그는 인도사람들을 대상으로 게임을 하게 해서 그 성과에 따라
하루 치, 2주일 치, 5개월 치 임금에 해당하는 상금을 주기로 한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평소 게임승률이 높았던 사람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상금을 제시받자, 눈에 띄게 승률이 떨어진 것이다.
즉, 더 많은 보상에 대한 부담감이 도리어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한 것,
더 많이 줄수록 좋을 것만 같았던 ‘보상’의 명.백.한 배신이었다.
본시리즈는 이 시대 리더들이 보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적용해야 하는 고민하게 하고 가이드라인을 줄 것이다.
똑똑한 보상을 위한 사용설명서_3편 내 조직에 딱 맞는 보상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