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R&D관리
정부 예산으로 수행되기는 하지만 국방R&D는 국가R&D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면서 본 책자를 읽기 바란다. 국방R&D는 R&D 목표가 궁극적으로 무기체계라는 신제품 개발을 위한 일련의 과정 중 일부이며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아니라는 점에서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그 맥을 같이한다. 국방R&D에서의 신제품 개발은 무기체계의 개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집필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달리, 무기체계 개발의 경우 소요결정으로부터 획득까지 짧게는 5년 길게는 15년 이상 장기간 소요된다는 점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국방R&D관리"는 모두 여덟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무기체계개발에서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다룬다. 제2장은 복잡계인 무기체계와 핵심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통합기술관리의 중요성을 기업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제3장은 신제품개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개발기획의 중요성과 리스크 관리를 다룬다. 제4장은 국방R&D에서 사용되는 사업관리기법을 소개한다. 제5장은 무기체계개발에 필요한 중요 기술의 개발을 위해 추진되는 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사업관리를 다룬다. 제6장은 무기체계개발에 대한 사업관리를 제시한다. 제7장은 무기체계개발 과정에서의 확인과 검증 절차와 내용을 다룬다. 제8장은 국방R&D 수준 제고에 필요한 개방형 혁신과 국내ㆍ외 기관 간의 R&D협력에 대해 언급한다.
저자 : 양희승
저자 : 양희승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및 행정대학원, 조지워싱턴대학교(경영학박사, 기술경영)
現 미래기술경영 대표, 국방대학교 겸임교수
한국형 테크노파크 설립 기획책임자,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 실무책임자
前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기술경영연구실장,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관리부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평가단장
前 세종대학교 교무위원/경영전문대학원 교수, 경희대학교/고려대학교 초빙교수
前 상공부 및 통상산업부 장관자문관
前 아시아개발은행(ADB) 선임자문역
前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1기 국방전문위원회 위원장
저자 : 조현기
육군사관학교, 美 공군대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학박사, 산업정보시스템)
현역 육군 준장
現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 기동사업부장
前 방위사업청 기술정책과장, 지상지휘통제감시사업팀장, 획득정책과장, 청장 비서실장
前 대포병탐지레이더사업, AN/TPQ-36 및 37 성능개량사업 담당
前 K55A1 자주포 성능개량사업, 천무개발사업, K56 탄약운반차개발사업 시험평가 담당
前 육군 전력개발관리단 기술관리처 기술관리장교
저자 : 김범석
해군사관학교, 서울대학교(공학석사, 조선해양), 고려대학교(경영학박사, 국방기술경영)
현역 해군 대령
現 방위사업청 전직교육 중
前 방위사업청 소형무장헬기체계팀장, 장보고-Ⅲ 생산관리팀장, 장보고-Ⅲ 체계개발팀장, 장보고-Ⅲ 체계개발2팀장
前 고속함(PKX-A) 사업 관리담당, 해상무기체계 관리담당, 잠수함(장보고-Ⅱ) 연동 담당, 장보고-Ⅲ Batch-Ⅰ잠수함 상세설계 및 함 건조 총괄담당
前 해군 조함단 기술처 기술관리장교, 수상함(KDX-Ⅱ) 설계 및 건조 감독관, 사업처 잠수함 설계기술전수 관리장교, 전투함 사업관리장교
저자 : 조현기
저자 : 김범석
제1장 무기체계 개발과 R&D
제2장 통합기술관리
제3장 신제품개발
제4장 국방R&D 사업관리 기법
제5장 핵심기술개발 사업관리
제6장 무기체계개발 사업관리
제7장 확인과 검증
제8장 개방형 혁신과 R&D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