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군의 외교 군사사
『한국 외군의 외교 군사사』는 총 3부로 구성됐다. 제1부는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혁명, 을미사변, 아관이어, 대한제국의 종말 등 6가지 사례를 분석했다. 제2부는 해방 정국에 미ㆍ소 양군이 한국 정치, 외교, 안보 상황을 결정하는 사례를 분석했다. 제3부는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기초한 주한미군의 군사, 외교사를 ‘방기ㆍ연루’의 지정학적 위험과 한국 전략무기 개발의 제한과 해제에 관련 사안 중심으로 검토했다.
저자 : 황병무
저자 : 황병무
[학력]
전주고등학교,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동대학원 정치학 석사
미국 유타 주립대학교 정치학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리버사이드 캠퍼스) 정치학 박사
[경력]
육군사관학교, 비교사회, 정치학 교관(육군 중위로 임관, 제대)
국방대학교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장
미국 랜드(RAND) 연구소 유급 초빙 연구원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편집위원회 위원장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장
대통령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장(노무현 대통령)
대통령 통일고문회의 고문(노무현 대통령)
대통령 안보자문단 위원(박근혜 대통령)
[저서]
『 국방개혁과 안보외교』
『 한국 안보의 영역, 쟁점, 정책』
『 21세기 한반도 평화와 편승의 지혜』
『 전쟁과 평화의 이해』
『 신 중국 군사론』
『 게릴라』(역서)
「China under Threat」 with Melvin Gurtov,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0.(공저)
「China’s Security」 with Melvin Gurtov, Lynne Rienner, 1998.(공저)
[평전]
姜懿庭, 「在威脅與被威脅之間:韓國學者黃炳茂對中國安全意圖的解讀」, 국립대만대학 정치학계, 2014.
[상훈]
2000. 10. 세종문화상(국방ㆍ안보 분야)
2003. 11. 보국 훈장 천수장
머리말 ⅰ
01 한국의 안보조건: 내우외환의 연계정치 1
1. 국가안전보장의 개념과 국력 1
2. 한국의 안보조건과 지정학 4
3. 내우ㆍ외한의 연계: 외군정치의 분석 명제 5
제1부 조선왕조말기 외군차용(外軍借用)의 득(得)과 실(失)
02 임오군란(壬午軍亂)과 외군차용(外軍借用) 15
1. 국내 정세 15
2. 일본의 대조선 외교: 당근과 채찍 22
3. 조선의 사대질서 변형 외교 24
4. 임오군란(壬午軍亂)의 발발과 정치ㆍ외교적 파장 27
5. 청국 파병의 동기와 조선 청병의 정치 29
6. 일본의 파병과 청ㆍ일 경쟁 34
7. 군란의 정치ㆍ군사적 파장 37
8. 임오군란 진압을 위한 외군(外軍)차용의 정책적 의미 43
03 갑신정변(甲申政變)과 일ㆍ청군의 개입 46
1. 수구와 개화세력의 반목과 대립 46
2. 조선의 다변 외교와 청ㆍ일의 대조선 정책 48
3. 개화당의 정변 모의와 일본의 사주 50
4. 정변 거사 계획과 경과 52
5. 내정 혁신과 3일 천하의 종말 54
6. 갑신정변의 국제적 파장 60
7. 숙위군 강화와 러시아 군사교관 초치 시도 62
8.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조선 배제 64
9. 갑신정변의 패인: 일(日)군차용 66
10. 갑신정변의 정책적 의미 68
04 동학농민봉기와 외군차용 69
1. 왕조(王朝)의 불안 69
2. 양강(청ㆍ일)체제하의 러시아 변수 72
3. 동학농민군 봉기 77
4. 외군차용을 둘러싼 쟁론 80
5. 청ㆍ일의 공동 파병과 조선 공동 간섭안 85
6. 일본군의 왕궁 침범 92
7. 동학농민봉기와 외군차용의 정책적 의미 98
05 을미사변: 조선 내홍으로 위장한 일군의 왕비 시해 101
1. 조정의 3개 파벌 대립과 친일세력의 위기 101
2. 군제개편: 훈련대ㆍ시위대 105
3. 청국의 패전과 일ㆍ로 경쟁 108
4. 일본의 조선 내홍으로 위장한 왕비 시해 111
5. 왕궁 사변의 정치와 열강의 개입 115
6. 훈련대 해산과 춘생문 사건 119
7. 을미사변의 정책적 의미 121
06 아관이어(俄館移御): 로ㆍ일군의 공동 주둔 123
1. 고종의 밀지와 의병봉기 123
2. 아관이어(俄館移御)의 동기와 과정 126
3. 아관이어(俄館移御)의 목표: 내정개혁과 일군 철수 129
4. 로ㆍ일 공동 주둔의 합의 131
5. 로바노프ㆍ민영환 합의 135
6. 외군차용을 고려한 환어지 경운궁 137
7. 아관이어의 정책적 의미 139
07 대한제국 종말의 군사ㆍ외교사 142
1. 원수부 설치와 정보기관 신설 142
2. 위협관과 군 구조 개선 147
3. 러ㆍ일의 각축과 영국 변수 153
4. 한국 밀사 외교를 통한 중립화(中立化)의 기도(企圖) 159
5. 일본의 대한제국 군사력ㆍ외교력의 단계적 폐지 정책 163
6. 대한제국의 종말: 내우ㆍ외환의 정책적 의미 171
제2부 외군주도의 광복과 6ㆍ25전쟁
08 미ㆍ소의 분할 점령과 통일 정부 수립의 실패 177
1. 광복군과 임정 승인 외교의 실패 178
2.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 점령 187
3. 미ㆍ소 점령군과 통일 정부 수립의 실패 196
4. 한국 광복의 국제성과 국내적 요인에 관한 정책적 의미 209
09 6ㆍ25전쟁과 정전체제 213
1. 6ㆍ25전쟁의 원인 213
2. 6ㆍ25전쟁의 발발과 한국의 외군(유엔군)차용 220
3. 중공군 개입과 국지 제한전 228
4. 정전협정 체결과정과 반공포로 석방 242
5. 6ㆍ25전쟁과 정전체제의 정책적 의미 252
제3부 한미동맹의 군사ㆍ외교사
10 주한미군: 평화보장력, 포기ㆍ연루ㆍ제한의 전략적 의미 259
1. 남ㆍ북한의 동맹조약과 외군 259
2. 주한미군 ‘포기(철수ㆍ감축)’와 한국 방위의 한국화 266
3. 한국의 좌절된 핵 개발과 미사일 개발의 제한 279
4. 파병의 군사외교 289
5. 위기관리와 자위권 298
6. 정책적 의미 316
11 사드 배치: 핵 시대 연루의 파장과 한국의 사드 외교 322
1. 사드 배치의 전략적 배경과 과정 322
2.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 325
3. 사드 배치의 국내 공론화 327
4. 문재인 정부의 사드 정치와 외교 331
5. 사드 배치와 한ㆍ중 갈등 335
6. ‘사드 외교’의 정책적 의미 351
12 북핵 위기: 벼랑 끝의 북미협상과 한국 중재역할의 한계 356
1. 강압 전략의 개념 356
2. 제1차 핵 위기 359
3. 제2차 핵 위기의 전말 382
4. 제3차 핵 위기의 전말 393
5. 정책적 의미 410
13 주한미군의 미래와 한국의 국방과제 414
1.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과 태세 414
2. 한국의 북핵 대응 논쟁: 전술핵 배치에서 핵 옵션까지 419
3. 주한미군의 미래와 유엔사 역할 변화의 전망 424
4. 한국 주도의 책임 국방을 향하여 430
5. 정책적 의미 436
참고문헌 438
찾아보기 447
황병무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