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태조 왕건 2
불통의 시대에 통합의 리더십을 읽다
역사소설의 거장 김성한이 흠모한 군주 왕건 일대기.
김성한의 《왕건》은 한고조 유방을 능가하는 덕(德)의 인물
고려태조 왕건을 복원해 낸 최고의 작품이다.
당대의 경세가 선종과 걸출한 용장 견훤을 넘어
덕장 왕건이 한반도를 통일한 창업군주가 되기까지
세 영웅이 펼치는 서사극
왕건이라는 위대한 덕인의 복원
때는 우리 역사상 전무후무한 춘추전국시대,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건국 초기의 격동기, 80여 명 장수들이 전국에 할거하여 저마다 천하를 노리고 싸우던 난세였다. 무려 만 47년에 이르는 혼란에 종지부를 찍고 평화를 가져온 인물이 이 작품의 주인공 왕건이다. 김성한의 세 번째 장편 역사소설인 이 작품은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태조 왕건의 일생을 중심으로 그와 동시대를 살면서 운명이 엇갈렸던 또 다른 영웅들 선종(궁예)과 견훤의 일생을 그리고 있다. 세 인물의 삶과 부딪침을 통해 작가는 왜 천하를 통일한 인물이 선종이나 견훤이 아닌 왕건이었는지 그 해답을 찾아간다. 당시 천하대세는 선종이냐 견훤이냐의 양자대결로 압축되고 있었다. 그런데 선종의 일개 부하였던 왕건이 그 주군을 넘고 견훤을 뛰어넘어 마지막 승자가 된다. 작가에 따르면 왕건은 천재성에 있어 선종에 미치지 못했고 야전사령관으로서는 견훤에 비교할 바가 못 되었던 인물이다. 그러나 그에게는 선종과 견훤에게 부족한 덕(德)이 있었다. 왕건은 천하 사람들의 마음의 벽을 헐고 서로 통하게 하는 천하 통일의 사리를 몸소 실천한 덕인(德人)이었다. 평화를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머리를 숙였던 까닭에 평생의 적수였던 견훤마저 마지막엔 그에게 몸을 의탁하고 통일전쟁에 협력했다. 작가는 이처럼 만인을 포용하는 왕건의 위대한 덕성, 즉 항상 자기성찰을 게을리하지 않고 남의 어려운 사정에 동정하며 남의 의견을 존중하는 면모를 작품 전편을 통해 잘 드러내 보여준다. 중국사에서 덕망 높은 창업군주로 손꼽는 한고조나 송태조보다 뛰어난 인물이며, 그러므로 우리 역사에서 훨씬 더 크게 자리잡아야 한다는 것이 고려태조 왕건에 대한 작가의 평가다.
김성한 (1919-2010)은 소설가. 언론인. 함경남도 풍산에서 출생했다. 호는 하남(霞南). 일본 동경대학 법학부를 중퇴하고 영국 맨체스터대학원에서 사학을 전공했다. 월간 《사상계》 주간, 《동아일보》 편집국장, 논설주간 역임. 예술원 회원. 동인문학상, 아세아 자유문학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인촌상, 예술원상 수상. 보관문화훈장 수훈. 195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무명로(無明路)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장한 후 손창섭, 장용학 등과 함께 50년대 문단을 주도했다. 영국 역사, 그리스 신화 등 세계 각지의 사회상황에서 작품의 소재를 취해 지적이고 반항적인 경향의 많은 단편을 발표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역사의 소설화에 몰두하여 삼국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인물과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을 연이어 발표했다. 그의 철저한 역사적 고증과 간결한 문체의 작품들은 우리나라 역사소설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다. 저서로 단편집 『암야행』 『오분간』 『개구리』 『바비도』와 장편역사소설 『요하』 『왕건』 『이성계』 『임진왜란』 『이마』 『진시황제』 『시인과 사무라이』 『秀吉 朝鮮の亂』 역사소품집 『길 따라 발 따라』 『일본 속의 한국』 『인물』 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