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온 더 브레인
〈뉴욕타임즈〉 37주 연속 베스트셀러 『사랑의 가설』작가
알리 헤이즐우드의 짜릿한 뇌섹 로맨스!
*출간 즉시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
*전 세계 32개국 판권 계약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우주 프로젝트 때문에 6년 만에 다시 만난 천재 뇌과학자와 천재 공학자가 벌이는 일과 사랑의 줄타기를 아슬아슬하게 그린 로맨스 소설이다. 출간되자마자 〈뉴욕타임즈〉의 베스트셀러로 등극,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전 세계 32개국에 수출되어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뇌과학 분야를 연구한 신경과학 박사이자 교수인 알리 헤이즐우드는 대학원에서의 경험과 과학을 바탕으로 이 소설에 리얼하고 독특한 과학도들의 감성과 설렘을 기가 막히게 녹여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상에 영원한 건 과학뿐이야.”
사랑을 믿지 않는 뇌 덕후, 나사(NASA)에서 원수를 만나다!
뇌신경 과학 박사 비 쾨닉스바사는 사랑을 믿지 않는다. 비는 세상에 영원한 것은 오직 ‘과학’뿐이라고 믿고, 마리 퀴리 박사의 가르침만이 진리라고 믿는다. 그래서 그녀는 항상 말한다. “마리 퀴리라면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할까?” 예를 들자면, 나사(NASA)에서 뇌신경과학 프로젝트 팀을 이끌 기회가 온다면 말이다. 당연히 덥석 물어야지. 그렇지만 리바이 워드와 공동 팀장이 되는 건 비의 예상에는 없던 일이었다. 물론 리바이는 키가 크고 날카로운 눈매가 매력적인, 우주에서 가장 멋지다고 평가받는 남자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그는 비를 예전부터 싫어했다. 하지만 실험실 장비가 오지 않고, 동료들의 무시를 받는 와중에 리바이가 비를 도와주면서 그들의 관계는 점차 동맹으로 변해간다. 자, 이제 중요한 질문은 한 가지다. “비 쾨닉스바사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출판사 리뷰〉
천재 뇌신경 과학자의 지독한 입덕 부정기
vs 천재 엔지니어의 지고지순 짝사랑 성공기
이 소설은 나사(NASA)라는 특수한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우주인이 착용하는 헬멧을 만들기 위해 뇌신경과학과 엔지니어링이 합작하면서 벌어지는 두 전문가의 두뇌 싸움이 관전 포인트로, 소설을 읽다 보면 ‘내 뇌는 과연 통통하고 좌우 대칭일지’ 그 상태가 궁금해진다. 이야기는 주인공 비 쾨닉스바사의 시점에서 진행되는데, 그녀의 조금은 미친 것 같고 남다른 사고방식 덕분에 저절로 웃음이 나고 공감하며 감정을 이입하게 된다.
연애에 철벽을 치는 뇌 과학자와 192cm 덩치만큼 커다란 순정을 간직한 이과 공돌이가 사랑의 줄다리기를 한다면, 과연 누가 이길까? 속을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남자와 매력적이지만 어딘가 짠한 여자, 그리고 그들 사이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투명 고양이 펠리세트…. 이 소설은 시선과 마음을 훔치는 캐릭터가 차례로 등장하고 로맨틱 코미디의 익숙한 성공 방식을 차근차근 따르며 독자에게 매력을 어필한다. 다시는 절대 절대 절대로 사랑을 하지 않겠다고 마음의 소리를 음소거한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어쩌면 이미 사랑에 빠진 건지도 모른다. 지독히도 처절하게 자신의 마음을 부정하는 여자 주인공의 입덕 부정 망상 몸부림을 지켜보는 재미를 놓치지 마시길.
어떤 시련이 닥칠지라도…
함께해서 빛나는 여성 과학자들의 눈부신 연대
이 책에는 훌륭한 연구 성과를 내더라도 늘 주변인으로 취급받는 여성 과학자들의 모습이 현실적으로 묘사된다. 스템(STEM) 계열 여성 과학자로서 저자는 주인공의 신랄한 풍자를 빌어 여성을 향한 남성의 폭력적인 시선과 기만에 대해 경고한다. 주인공에게 닥친 시련과 여성 연대의 일시적 붕괴로 숨겨져 있던 진실이 드러나며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선명하게 밝힌다. 위선적이고 폭력적인 남성들로 인해 고통 받는 ‘여성들의 존재’와 ‘그들의 연대’가 바로 그것이다. 작품 속에서 부각되는 여성의 연대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선택임을 보여 준다.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각자의 전쟁터에서 매일 치열하게 싸우는 여성 모두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알리 헤이즐우드(지은이)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독일과 일본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땄다. 뇌과학 분야에서 논문을 다수 발표한 과학자인데, 『사랑의 가설』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를 기록한 작가가 되었다. 그녀가 발표한 논문에서는 아무도 키스를 나누지 않고, 또 그 결말이 언제나 해피엔딩인 것도 아니지만, 그녀의 소설에서만큼은 여러 커플이 살아 숨 쉬며 사랑을 나눈다. 쉴 때는 달리기와 뜨개질을 하고, 두 마리 고양이와 조금 덜 고양이 같은 남편과 SF 영화 감상을 즐긴다.
허형은(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삶의 끝에서》, 《모르타라 납치사건》, 《미친 사랑의 서》, 《토베 얀손, 일과 사랑》, 《모리스의 월요일》, 《빅스톤갭의 작은 책방》, 《생추어리 농장》, 《범죄의 해부학》, 《하프 브로크》 등이 있다.
〈러브 온 더 브레인〉 본문
알리 헤이즐우드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