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인생 수업
아리스토텔레스, 니체, 쇼펜하우어 등 2000년간 수많은 철학자에게 영감을 준 ‘철학자들의 철학자’ 플라톤을 이해하는 첫 번째 인문 교양서가 출간되었다. 전작 『마흔에 읽는 니체』를 통해 ‘니체’ 열풍을 일으키며 10만 독자의 사랑을 받은 우리 시대의 인문학 멘토 장재형은, 이번 신작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플라톤 철학에서 그 답을 찾아 나간다.
우리는 성공에 대한 집착과 욕망을 지나치게 미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점점 더 지성보다는 욕망을, 영혼보다는 육체를 좇으며 달려가고 있다. 겉으로 드러나는 삶, 남에게 보여주는 삶을 사느라 정작 자기 안의 내밀한 목소리는 놓치고 있다. “과연 나는 제대로 살고 있는 걸까?” 장재형 저자는 누구도 대신 답해주지 않는 이 질문에 괴롭다면 플라톤 철학을 만나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플라톤의 고전 작품에서 길어 올린 24개의 아포리즘을 통해 행복(Eudaimonia), 지식(Epist?m?), 미덕(Aret?) 등 결코 변하지 않는 삶의 지혜를 펼쳐낸다. “무지를 깨닫는 자만이 스스로를 돌본다”, “나를 돌보지 않는 것만큼 수치스러운 일은 없다”, “삶의 고통을 회피할수록 무기력해진다”, “중요한 것은 사는 것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이다”, “고독할 줄 아는 자만이 행복할 수 있다” 등 정신이 번쩍 드는 묵직한 명언으로 가득하다. 고단한 현실과 이상적인 삶 사이에서 흔들리는 독자에게 더 나은 삶, 더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감동적인 지혜를 선사할 책이다.
저: 장재형
전작 『마흔에 읽는 니체』로 ‘니체’ 열풍을 일으키며 10만 독자의 사랑을 받은 우리 시대의 인문학 멘토다. 법학을 전공하며 익힌 공부 내공을 살려 30여 년간 고전 문학, 동서양 철학, 역사, 서양 미술에 이르기까지 1만 권이 넘는 책을 체계적으로 섭렵하고, 우리 삶에 적용할 보석 같은 지혜를 발굴해 독자에게 전하고 있다.
방대한 지식을 탐구한 끝에 ‘모든 철학은 플라톤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철학의 정수를 탐구하기 위해 플라톤 전집 30권을 독파했다. 이 세계를 현실과 이상으로 나누며 2000년 서양 철학을 탄생시킨 플라톤 철학에서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눈앞의 현실에 현혹되지 않고 삶의 본질을 포착해 행복을 영위하는 방법을 『플라톤의 인생 수업』에 담아냈다.
글쓰기 연구소를 운영하며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한 인문학 저자를 발굴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저서로 『마흔에 읽는 니체』, 『마흔에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 등이 있다.
인스타그램 @phillex_jang
프롤로그_우리에게는 영혼을 위한 철학이 필요하다
1장. 어떻게 인생을 살아야 하는가
캐묻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_소크라테스의 문답법
질문하지 않는 삶은 무의미하다 | 지혜는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 인간만이 본 것을 자세히 관찰한다
무지를 깨닫는 자만이 스스로를 돌본다_무지의 지
아무것도 모르는 무지한 사람이 되어라 | 우리 안에 혼보다 더 강력한 것은 없다 | 삶이 괴로울 때 가장 깊은 곳으로 내려가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절대 가치는 있다_진리
절대적인 진리는 없는가 | 미덕을 모르고 미덕을 실천할 수 있는가 | 상대주의의 위험한 함정
이상주의자가 될 것인가, 현실주의자가 될 것인가_이데아
서양 철학을 지배한 대논쟁의 시작 | 이데아론에 영향을 준 두 철학자 | 존재하는 모든 개체의 본성으로서 이데아 | 이상주의자 vs. 현실주의자
우리는 그림자를 진짜라고 믿고 있지 않을까_동굴의 비유
평생 그림자만 바라보는 사람들 | 어떻게 굴레에서 해방될 것인가 | 혼의 비약이 이뤄진다는 것
욕망과 투쟁하고 타협하라_영혼 삼분설
이성은 두 마리의 말을 끄는 마부다 | 욕망을 제대로 다스리는 법 | 모든 행동은 욕망을 토대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