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속 예술가들
도시를 버리고 전원으로 향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예술인 역시 마찬가지다. 대구 도심을 벗어나 산과 들, 강이 있는 팔공산이나 청도, 고령 등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 자연을 벗삼아 작품활동을 하는 작가가 많다. 일상생활이 약간 불편하지만 전원으로 향하는 그들 나름의 이유가 있다. 많은 작가들은 도시에서 쫓기는 삶을 살면서 잃어버린 것을 자연을 통해 다시 얻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눈앞의 편안함 때문에 잃어버린지조차 몰랐던 삶의 여유와 지혜는 물론, 작가에게 가장 중요한 영감도 얻는다는 설명이다.
그래서 많은 예술가들이 자연을 그림, 문학 등으로 담아내고 있다. 특히 화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자연을 화폭에 담고 있는데, 이는 자연이 가진 힘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자연은 그 자체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수많은 생명체들이 살아숨쉬어 생명력이 넘친다. 이는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아름답게 해줄뿐만 아니라 삶의 의욕을 느끼게 한다. 자연은 사시사철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에서 나아가 변하지 않는 듯하면서도 매시간마다 끊임없이 다른 모습을 연출해 경외감도 자아내게 한다. 자만에 빠지기 쉬운 인간들에게 겸손의 미덕을 깨닫게 해주는 것 또한 자연이 가진 힘이다.
이 책은 이같은 자연을 단순히 화폭이나 문학 등으로 담아내는데 그치지 않고 자연 속으로 들어가 함께 호흡하면서 작업을 하는 작가들의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지역의 시골에 작업실을 두고 예술활동을 하는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작가들의 작업실을 직접 찾아가 작업실의 모습과 작품세계는 물론 자연과 호흡하며 사는 작가로서의 느낌, 자연이 작업에 준 영향 등을 두루 담아냈다.
이를 통해 자연과 예술과의 깊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물론 지역 문화예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이의 관광화 등에도 도움을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구와 경북은 한국 근대화단에 큰 족적을 남긴 걸출한 화가들을 포함한 예술인들을 많이 배출했다. 문화예술의 고장으로서의 자부심을 확인케 하고, 팔공산·칠곡·달성 등 대구의 인근지역과 청도·고령·문경 등 경북지역을 연계해 문화예술관광벨트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줬으면 하는 생각도 감히 해본다.
차계남 조형예술가
김성수 조각가
문무학 시인
문상직 화가
곽승용 화가
이복규 도예가
이기성·김영숙 화가
정은기 조각가
리우 조각가
이정호 건축가와 이규리 시인
장하빈 시인
최재우 연출가
김일환 화가
박중식 화가
김지희 자연염색가
박현옥 무용가
백미혜 서양화가, 시인
방준호 조각가
고수영·허선희 조각가
남춘모 화가
김동광 화가
이점찬 도예가
최인철 도예가
권상구 화가
장성용 도예가
송광익 화가
유명수 화가
박남연 조각가
박휘봉 조각가
이명원 화가
황승욱 도예가
이학천 도예가
노중기 화가
김희열 화가
노태웅 화가
이태윤 도예가
연봉상 도예가
이성조 서예가
박희욱 화가
김선식 도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