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강경애 2)
황해도 송화출신. 어릴 때 부친을 여읜 뒤 모친의 개가로 일곱 살에 장연(長淵)으로 이주하였다. 1925년 형부의 도움으로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했으나 중퇴하고, 서울의 동덕여학교에 편입하여 약 1년간 수학하였다. 이 무렵 그녀의 문학적인 재질을 높이 평가한 양주동(梁柱東)과 사귀었으나 곧 헤어졌다. 1931년에 장하일(張河一)과 결혼하고 간도(間島)에 가서 살면서 작품활동을 계속했다. 한때 조선일보 간도지국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차츰 나빠진 건강으로 1942년 남편과 함께 간도에서 귀국하여 요양하던 중 작고하였다.
1931년 『조선일보』에 단편소설 「파금(破琴)」을, 그리고 같은 해 장편소설 「어머니와 딸」을 『혜성』(1931)과 『제일선』(1932)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단편소설 「부자」(1934)·「채전(菜田)」(1933)·「지하촌」(1936) 등과 장편소설 「소금」(1934)·「인간문제」(1934) 등으로 1930년대 문단에서 독특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어려운 살림살이와 병고, 그리고 중앙문단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준열한 작가정신으로 식민지 한국의 빈궁문제를 작품화하는 데 힘썼다. 일련의 작품 가운데서도 특히 「인간문제」와 「지하촌」은 강경애를 특이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지목하게 한 문제작이다. 「인간문제」는 사회의 최하층에 속해 있는 사람들의 비극적 삶을 그린 것으로서, 「지하촌」은 극한적인 빈궁 속에서 사람이 얼마만큼 비참해질 수 있나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당시의 극한적인 빈궁상이라는 사회적 모순을, 특히 작자 나름의 사실적 기법으로 상세히 묘사한 점에서 강경애의 작품세계는 1930년대 문학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그밖에 주요작품으로는 단편 「축구전(蹴球戰)」(1933)·「유무(有無)」(1934)·「모자(母子)」(1935)·「원고료이백원」(1935)·「해고(解雇)」(1935)·「산남(山男)」(1936)·「어둠」(1937) 등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강경애[姜敬愛] 1906년 4월 20일, 황해도 송화 - 1943년 4월 26일, 소설가
극한적인 빈궁상의 사회적 모순을 사실적 기법으로 상세히 묘사해 1930년대 문학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했다.
저서(작품), 파금, 어머니와 딸, 부자, 채전, 지하촌, 소금, 인간문제, 축구전, 유무, 모자, 원고료이백원, 해고, 산남, 어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