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의헌의 정신병리 강의
인간을 다룬다는 점에서 정신의학 및 심리학 영역과 종교 영역은 공통된다 할 수 있다. 확실히 두 영역은 다르고 대립되는 면 또한 많다. 하지만 이 두 영역이 협력할 부분은 분명 존재한다. 다른 영역과의 협력으로 인해 자기 정체성이 흔들릴까 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겉으로는 협력을 하자면서 속으로는 자기 이득만을 계산하는 교활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협력은 꾸준히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이 책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정신병리를 바라보는 정신의학의 시각을 다루었으며, 여기에 기독교의 시각을 일부 포함시켰다.
최의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목회신학 석사(M. Div)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신과 전문의, 목회상담 전문가, 목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연세로뎀 정신과의원 원장, 한국정신치료연구원 원장, 연세로뎀 아동청소년상담센터 원장, 한국목회상담협회 감독 및 운영위원,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감독 및 상임위원, 한국복음주의기독교상담학회 전문가, 연세의대 정신과 외래교수, 한국자살예방협회 정회원 및 사이버상담위원장, 서대문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추천의 글
저자의 글
제1강 정신병리의 이해와 DSM-IV 진단체계
1. 정신 장애 분류의 필요성, 진단분류체계의 등장
2. 정신 장애 분류의 역사적 변천
3. 정신 장애 분류의 특징
4. 정신 장애 분류의 일반적인 개념
5. DSM-IV의 특징
6. 각 질환들의 연속성과 개별성
7. 종교 체험 및 종교적 현상에 대한 DSM-IV의 시각
제2강 정신상태검사(정신병리의 파악)
1. 정신병리 용어
2. 내담자 파악 및 질문
3. 내담자 기록 (1)
4. 내담자 기록 (2)
제3강 병리 환자의 치료적 접근
1. 병리 환자의 이해
2. 병리 환자를 돕는 원칙
3. 약물치료
4. 역동의 중요성
제4강 병리 환자의 역동적 접근
1. 아동 발달단계의 구분
2. 분기점 기준의 근거-‘기억’
3. 발달단계에 따른 대상관계의 차이
4. 발달단계에 따른 불안수준 및 정신병리의 차이
5. 상담 현장에서의 역동적 접근
제5강 정신분열병과 귀신들림
1. 정신분열병 환자의 이해-역사적 변천
2.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다각도적인 접근
3. DSM-IV의 규정
4. 정신분열병의 이해-정신건강교육
5. 정신분열병과 귀신들림의 상호작용
6. 치료
제6강 해리현상과 종교심리
1. 해리의 정의
2. 해리 증상
3. 해리성 장애의 분류
4. 해리성 장애를 통해 알 수 있는 인간 특성
5. 치료
6. 해리현상과 종교심리
제7강 기분 장애
1. 용어정리-감정, 기분, 정동
2. 기분의 정상적 범위와 비정상적 ‘삽화’
3. 기분 장애의 분류
4. 병의 발생 및 경과
5. 질환의 원인과 특성
6. 치료
제8강 불안 장애
1. 불안이란?
2. 공황장애
3. 강박장애
4. 공포증,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5. 불안의 영적인 측면
제9강 인격 장애
1. 인격 장애 총론
2. 편집성/분열성/분열형 인격장애(A군)
3. 연극성/자기애성/경계성/반사회성 인격장애(B군)
4. 회피성/의존성/강박성 인격장애(C군)
5. 치료
제10강 기타 장애들
1. 신체형 장애, 신체화장애, 정신신체 장애의 용어 차이
2. 신체형 장애
3. 식사 장애
4. 성 장애
5. 섬망과 치매
6. 알코올 관련 장애
7. 아동의 정신병리
8. 정신병리 강의를 마무리하며
부록 DSM-IV 진단기준
찾아보기
최의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