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론
제33대 육군 군수사령관 이상돈(예.중장)과 주 인도 국방무관 김철환 대령(전 사령부 연구개발과장) 공동으로 심혈을 기울여 집필한 역저. 현대전을 치른 걸프전이나 아프카니스탄전에서의 군수의 중요성과 맥아더장군의 인천상륙작전과 중공군의 대공세에 따른 전진과 후퇴시 군수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했었나를 예리하게 분석한 것이 돋보인다.
저자는 한국군 간부들이 군수에 관한 전반적 이해가 부족하고 관심이 적은 바 강한 한국군대로 발전하는데 걸림돌이 될 것이 우려된다고 말하며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후 한반도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강한 군대는 필수적이라도 역설한다. 강한 군대가 되기 위해서 전쟁의 동맥인 군수를 이해하고 전쟁을 미리 준비해야 하며 그동안 막연히 알았던 군수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군수의 전략적 가치를 발견하여 군수를 사랑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이상돈
제33대 육군 군수사령관, (예)중장
김철환
주 인도 국방무관(대령), 전 사령부 연구개발과장
독자들에게
제1장 군수란 무엇인가
01_군사사(軍事史)에서 군수의 위치
02_군수(軍需)의 정의(定義)
03_군수와 민수
04_용병술과 군수
05_전쟁의 원칙과 군수의 상관관계
제2장 강한 군대의 군수
01_로마군의 군수
02_몽골군의 군수
03_독일군의 군수
04_미군의 군수
제3장 명장들의 군수
01_보급전의 명암(明暗)을 보여준 나플레옹
02_기동력을 위해 군수품을 제현한 셔먼
03_승리할수록 고통스러운 롬멜
04_6ㆍ25전쟁간 맥아더의 성공과 실수
제4장 한국군의 군수
01_조선시대 군대의 순수
02_8ㆍ15광복부터 6ㆍ25전쟁까지 한국군 군수
03_군수기지사령부 창설부터 군수사령부 창설까지
04_조병창과 방위산업
05_군수와 회득, 국방부 조직 변천사
06_미국의 안보지원
07_해외파병 군수지원
08_한국군 군수의 현재
제5장 한국군 군수 발전을 위한 제언
01_군수 원칙
02_군수지원체제 및 구조
03_군수 운영
04_전시 군수지원
05_군수정보체계
마무리하며